퓨어 담마(Pure Dhamma)

붓다의 진정한 가르침을 회복하기 위한 탐구


{"google":["PT Serif","Noto Sans KR"],"custom":["Nanum Gothic","Nanum Barun Gothic"]}

 

윈냐-나(오염된 의식)

 

원문: Key Dhamma Concepts 섹션의 ‘Viññāṇa (Defiled Consciousness)’ 포스트

- 2014년 최초 작성, 2018년 9월 8일 재작성, 2018년 12월 25일 개정; 2022년 7월 18일[영문법 및 경미한 사항 개정임]

 

윈냐-나(viññāna)는 보통 의식이나 앎으로 번역됩니다. 그러나 그것은 훨씬 더 심오하며 다양한 유형이 될 수 있습니다. 개괄적 설명은 아래와 같으며, 웹사이트의 다른 섹션에서 윈냐-나의 여러 다양한 유형에 대한 몇몇 포스트가 있습니다.

 

 

윈냐-나의 6가지 유형

 

1. 6가지 감각 입력(보이는 것, 들리는 것, 냄새, 맛, 감촉, 마음)에 상응하는 6가지 유형의 윈냐-나(viññāna)가 있습니다. 짝쿠 윈냐-나(cakkhu viññāna, 안식), 소-따 윈냐-나(sōta viññāna, 이식), 가-나 윈냐-나(ghāna viññāna, 비식), 지브와 윈냐-나(jivha viññāna, 설식), 까-야 윈냐-나(kāya viññāna, 신식), 및 마노- 윈냐-나(manō viññāna, 의식)가 그것입니다.

 

  • * 우리가 감각 입력을 경험할 때(예를 들어, 물체를 보게 될 때), 행복, 불행, 또는 중립적인 느낌(웨-다나-, vēdanā)을 느끼고, 지각하고(산냐-, saññā), 자동으로 마노- 상카-라(manō sankhāra)를 생성합니다.

  • * 윈냐-나(viññāna)는 웨-다나-(vēdanā), 산냐-(saññā) 및 상카-라(sankhāra)를 포함하는 전체적 감각 경험을 제공합니다. 후자의 3 가지(웨-다-나-, 산냐-, 상카-라)를 합쳐서 나-마(nāma)라고 부릅니다.

  • * 그러나, ‘감각 경험(모두 ’나-마’임)을 제공하는 것 외에도, 윈냐-나(viññāna)는 나-마(nāma)와 루-빠(rūpa) 사이에서 ’나-마루-빠(nāmarūpa)’로 가교(다리) 역할을 또한 할 수 있습니다. 이 ‘나-마루-빠(nāmarūpa)’는 물질(rūpa, 루-빠)이 생성되기 위한 씨앗입니다. 그것은 지금 우리가 다루고 있는 것으로, 깜마 윈냐-나(kamma viññāna)라고 부르는, 윈냐-나(viññāna)의 분리된(별도) 유형입니다.

 

윈냐-나의 2가지 유형 – ‘위빠-까 윈냐-나’와 ‘깜마 윈냐-나’

 

2 위빠-까 윈냐-나(vipāka viññāna)는 앎 또는 의식입니다. 다섯 가지 육체 감각과 관련된 다섯 가지 유형의 윈냐-나(viññāna)는 항상 위빠-까 윈냐-나(vipāka viññāna)입니다. 마노- 윈냐-나(Manō viññāṇa)는 또한 위빠-까 윈냐-나일 수 있습니다. 무언가를 볼 때 그것은 짝쿠 윈냐-나(cakkhu viññāna)고, 무언가를 냄새 맡을 때 그것은 가-나 윈냐-나(ghāna viññāna) 등입니다. 감각 입력이 6개의 감각 문(눈, 귀, 코, 혀, 접촉 및 마음)을 통해 올 때 일어나는 6가지 유형의 ‘위빠-까 윈냐-나(vipāka viññāna)’가 있습니다. 이것들은 위 #1에서 열거된 6가지 유형입니다.

 

  • * 두 번째 주요 유형은 깜마 윈냐-나(kamma viññāna), 즉 오염된 윈냐-나(defiled viññāna)입니다. 깜마 윈냐-나(kamma viññāna)는 빠띳짜 사뭅빠-다(Paṭicca Samuppada)에서 ‘아윗자- 빳짜야- 상카-라(avijjā paccayā saṅkhāra)’를 통해 일어나는 그것들입니다.

  • * 깜마 윈냐-나(kamma viññāna)는 항상 마노- 윈냐-나(manō viññāna)라는 것에 주목하세요. 즉, 깜마 윈냐-나(kamma viññāna)는 5개의 육체적 감각 문을 거치지 않고 마음에 일어납니다. 

  • * 그러므로, 마노- 윈냐-나(manō viññāna)는 위빠-까 윈냐-나(vipāka viññāna) 또는 깜마 윈냐-나(kamma viññāna)일 수 있습니다.

 

3. 깜마 윈냐-나(kamma viññāna)는 마노- 상카-라(manō sankhāra), 와찌 상카-라(vaci sankhāra), 및 까-야 상카-라(kāya sankhāra)라는 3가지 유형의 오염된 생각(상카-라, sankhāra)를 통해 생성됩니다.

 

  • * 감각 입력으로 인해 자동으로 생각이 일어날 때, 그것은 마노- 상카-라(manō sankhāra)입니다. 그 후에, 우리는 그것에 대해 의식적으로 생각하고 그것에 대해 큰소리로 말할 수도 있고(와찌 상카-라), 우리가 정말로 끌려 사로잡히면 육체 행동을 할 수도 있습니다(까야 상카-라). ‘상카-라와 그 진정한 의미’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 * 입 밖으로 말하지 않고 소리 없이 자기 자신에게 말하거나 생각하는 것도 ‘와찌 상카-라(vaci sankhāra)’에 포함된다는 것을 깨닫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에 대해서는 ‘‘와찌- 상카-라’의 바른 의미’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4. 우리는 ‘앎’ 또는 ‘의식’이라고 하는 것이 ‘위빠-까 윈냐-나(vipāka viññāna)’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것은 특정 순간에 각자의 경험입니다.

 

  • * 반면에, 깜마 윈냐-나(kamma viññāna)는 ‘잠재 의식’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그것은 숨겨져 있다가 때때로 표면으로 올라오는 희망 또는 바람입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차를 살 계획을 한다면, 그 생각(희망/바람)은 잠재 의식 속에 남아 있습니다. 우리가 사고 싶은 것과 같은 자동차를 보게 될 때, 그 윈냐-나(viññāna)가 각성되어 그것에 대해 생각하기 시작합니다. 그러나 일단 자동차를 사고 나면, 그 윈냐-나(viññāna)는 사라질 것입니다. 즉, 더 이상 그것(차 사는 것)에 대해 생각하지 않을 것입니다.

  • * 우리는 살고 삶을 즐기려는 바람을 가지기 때문에 주로 다시 태어납니다. 그러나 대부분 우리가 바라는 바로 그것을 얻지 못합니다. 이 삶에서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다사 아꾸살라(dasa akusala, 열 가지 불선행)를 행한다면, 원하는 것에 상관없이 아빠야(apaya, 악처, 사악처)에 태어날 것입니다.

 

‘위빠-까 윈냐-나’와 ‘깜마 윈냐-나’가 생기는 메카니즘

 

5. 깜마 윈냐-나(kamma viññāna)는 빠띳짜 사뭅빠-다(paticca samuppāda, 연기) 사이클에서 생성됩니다. ‘빠띳짜 사뭅빠다(연기)’ 섹션을 참조하세요. 위에서 보았듯이, 깜마 윈냐-나(kamma viññāna)는 상카-라(sankhāra)로 인해 일어납니다. 즉, ‘아윗자 빳짜야- 상카-라(avijja paccayā sankhāra, 아윗자에서 상카-라가 연기)’와, ‘상카-라 빳짜야- 윈냐-나(sankhāra paccayā viññāna, 상카라에서 윈냐-나가 연기)’의 연기 단계로 일어납니다.

 

  • * 그러므로, 우리는 무지(감각의 즐거움을 얻기 위해 노력하면 오래 지속되는 행복에 이를 수 있다고 아는 것)로 인해 아비 상카-라((abhi)sankhāra)를 행함으로써 그러한 깜마 윈냐-나(kamma viññāna)를 축적합니다. 즉, 우리는 아닛짜(anicca) 본질을 이해하지 못합니다.

 

6. 위빠-까 윈냐-나(vipāka viññāna)는 6가지 감각 기관을 통한 감각 입력으로 인해 여섯 가지 방식으로 일어납니다. 즉, ‘cakkhuñca paṭicca rūpē ca uppajjāti cakkhuviññāṇaṃ“, “sōtañca paṭicca saddē ca uppajjāti sōtaviññāṇaṃ“,…”manañca paṭicca dhammē ca uppajjāti manōviññāṇaṃ’입니다.

 

  • * 위 구절은 ‘우리는 눈이 물체에서 오는 빛을 포착할 때 물체를 보고, 귀에 들어오는 소리를 듣고, .... 마음에 일어나는 생각을 갖는다’는 의미입니다.

  • * 마노- 윈냐-나(manō viññāna)의 경우는 예를 들면 전날에 일어난 것이 마음에 불쑥 들어온 것입니다.

  • * 6가지 유형의 윈냐-나(viññāna)가 일어나는 과정은 ‘고정되고 내 것인 마음이 있는가?’ 포스트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위빠-까 윈냐-나’를 바탕으로, ‘깜마 윈냐-나’를 시작함

 

7. 우리가 처음에 경험하는 모든 것은 깜마- 위빠-까(kammā vipāka) 때문입니다. 즉, 위빠-까 윈냐-나(vipāka viññāna)로 우리에게 옵니다. ‘위빠-까 윈냐-나’가 보게 하고, 듣게 하고, 냄새 맡게 하고, 맛보게 하고, 육체적 감촉을 느끼게 하고, 마음에 새로운 생각이 일어나게 합니다.

 

  • * 이러한 감각입력을 바탕을 하여, 우리는 그 감각 입력이 좋거나(탐함으로 이어짐) 싫으면(성냄으로 이어짐), 새로운 깜마 윈냐-나(kamma viññāna)를 시작하게 됩니다. 이것은 위에서 언급했듯이 ‘상카-라 빳짜야- 윈냐-나(sankhāra paccayā viññāna, 상카라에서 윈냐-나가 연기)’를 통해 일어납니다.

 

8. 우리가 의식적으로 상카-라(sankhāra)를 행하기 시작하면, ‘상카-라 빳짜야- 윈냐-나(sankhāra paccayā viññāna)’라는 과정을 통해 새로운 깜마(kamma, 업)를 생성하기 시작합니다. 그러면 우리는 새로운 깜마 윈냐-나(kamma viññāna)가 일어나게 하는 것입니다. 그 아비상카-라(abhisankhāra)가 충분히 강하다면, 상응하는 깜마 윈냐-나(kamma viññāna)는 (재탄생의 원인이 되는) 빠띠산디 윈냐-나(patisandhi viññāna)라고 불리는 특별한 유형의 위빠-까 윈냐-나(vipāka viññāna)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 * 새로운 바와(bhava, 존재)를 붙잡는 순간에 그 마음의 상태인 빠띠산디 윈냐-나(patisandhi viññāna)는 위빠-까 윈냐-나(vipāka viññāna)입니다. 우리는 그것을 제어할 수 없습니다.

  • * 빠띠산디 윈냐-나(patisandhi viññāna)는 그 깜마(kamma)를 행할 때에 깜마 윈냐-나(kamma viññāna)로 행한 과거 깜마(kamma)의 결과입니다. 예를 들어, 누군가가 깜마 윈냐-나(kamma viññāna)로 사람을 죽이면, 깜마 비-자(kamma bīja, 업 에너지)가 생깁니다. 그 ‘깜마 비-자’는 미래에 빠띠산디 윈냐-나(patisandhi viññāna)의 형태로 위빠-까 윈냐-나(vipāka viññāna)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9. 더 많은 위빠-까(vipāka, 과보)로 이끄는 깜마-(kammā, 업)로 이어지는 위빠-까(vipāka)의 악순환은 우리를 (대부분) 괴로움과 함께 끝없는 재탄생의 삼사-라(saṃsāra, 윤회)에 묶는 과정입니다.

 

  • * 붓다께서는 이것을 “깜마- 위빠-까- 왓단띠, 위빠-꼬- 깜마 삼바오-, 따스마- 뿐납바오- 호-띠, 에완 로꼬- 빠왓따띠(kammā vipākā vaddanti, vipākō kamma sambhavō, tasmā punabbhavō hōti, evan lokō pavattati)”라고 설명하십니다.

  • * 그 의미는 “깜마-(kammā)는 위빠-까(vipākā)로 이어지고, ‘위빠-까’는 곧이어 ‘깜마-’로 이어지고 그리하여 재탄생(punabbhavō)으로 이어지며, 그것이 세상(존재)이 유지되는 방식이다”입니다.

  • * 위 구절에서, ‘삼바와(sambhava)’는 ‘산(san)+바와(bhava)’, 즉 ‘더 많은 존재(바와)가 더해짐’을 뜻합니다. 또한, ‘로-까(lōka)’는 ‘세계’를 뜻하고, ‘빠왓따(pavatta)’는 ‘유지함’을 뜻합니다.

 

10. 다음에 가리키는 것과 같이, 이 악순환을 끊는 것이 닙바나에 이르는 열쇠입니다.

 

“양 낀찌 둑캉 삼보띠, 삽방 윈냐-나빳짜야-(Yam kiñci dukkham sambhoti, Sabbam viññānapaccayā)”

(이 구절은 ‘무슨 괴로움이 일어나든지, 그것은 윈냐-나(viññāna) 때문에 일어난다’는 의미임)

 

11. 많은 숫따에서 닙바-나(Nibbāna)는 윈냐-나(viññāna, 오염된 의식)가 일어나지 않는 것, 즉 ‘윈냐-나 니로-다(viññāna nirōdha)’를 통해 달성된다는 것을 분명하게 말합니다. 명확한 말씀은 ‘Dvayatānupassanāsutta (Sutta Nipata 3.12)’에서 볼 수 있습니다.

 

“양 낀찌 둑캉 삼보띠, 삽방 윈냐-나빳짜야-;

윈냐-낫사 니로데나, 낫티 둑캇사 삼바오.

(Yaṃ kiñci dukkhaṃ sambhoti, Sabbaṃ viññāṇapaccayā;

Viññāṇassa nirodhena, Natthi dukkhassa sambhavo)”.

 

번역:

무슨 괴로움이 일어나든지, 모든 것은 윈냐-나(viññāna) 때문에 일어난다.

윈냐-나(viññāna)가 일어나지 않으면, 존재는 괴로움이 없다.

 

여기서 언급하는 윈냐-나(viññāna)는 깜마 윈냐-나(kamma viññāna)입니다. 이에 대해서는 ‘윈냐-나와 그 진정한 의미’ 포스트를 보세요.

 

12. 물론 깜마 윈냐-나(kamma viññāna)가 일어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아비상카-라(abhisankhāra)를 행하지 않는 것입니다. 즉, ‘상카-라 빳짜야- 윈냐-나(sankhāra paccayā viññāna)‘ 단계에서 ‘깜마 윈냐-나(kamma viññāna)’를 멈추는 것입니다. 그것은 두 단계를 필요로 합니다.

 

  • * 첫째로, ‘아윗자 빳짜야- 상카-라(avijja paccayā sankhāra)’ 단계를 피하도록 빤냐(panna)를 계발하여 아윗자(avijja)를 제거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세상의 아닛짜(anicca), 둑카(dukkha), 아낫따(anatta), 아수바(asubha) 특성을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 * 둘째로, 또한, 재탄생 과정을 멈추거나 미래에 나쁜 깜마 위빠-까(kamma vipāka)가 일어나는 것을 멈추기까지 하도록, 사띠(mindful)를 유지하고 아비상카-라(abhisankhāra)가 일어나지 않게 할 필요가 있습니다.

  • * 두 단계는 모두 필수적이며, 서로 도웁니다. 아닛짜(anicca) 특성을 더 많이 이해할수록 아비상카-라(abhisankhāra)를 멈추기가 더 쉬우며, 아비상카-라(abhisankhāra)를 더 많이 멈출수록 아닛짜(anicca) 특성을 이해하기가 쉬워집니다.

 

명심해야 할 요점

 

13. 깜마 윈냐-나(kamma viññāna)는 우리 자신이 만드는 상까따(sankata)이며, 또한 깜마 비-자(kamma bīja)라고도 불립니다. 우리는 미혹함 때문에 마노-(manō), 와찌(vaci), 및 까-야 상카-라(kāya sankhāra)를 행하여 그것들을 만듭니다. 그 과정은 빠띳짜 사뭅빠-다(paticca samuppāda, 연기)로 설명됩니다.

 

  • * 우리는 사띠(mindful, 마음챙김)를 유지하고 아비상카-라(abhisankhāra), 특히 ‘아뿐냐 아비상카라(apuñña abhisaṅkhāra, 비도덕적 행위)’를 하지 않음으로써, 깜마 윈냐-나(kamma viññāna)가 일어나지 않게 할 수 있습니다.

 

14. 아비상카-라(abhisankhāra) 때문에 일어나는 재탄생(또는 다른 깜마 위빠-까_kamma vipāka)의 유형은 빠띳짜 사뭅빠-다(paticca samuppāda, 연기)로 설명됩니다. 그것들은 행해진 아비상카-라(abhisankhāra)의 유형에 따릅니다. ‘빠띠 잇짜(pati icca)’는 ‘사마 웁빠-다(sama uppāda)’로 이어집니다. 이에 대해서는 ‘빠띳짜 사뭅빠-다 ㅡ '빠띠+이치차' + '사마+웁빠-다'’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 * 그 다음 그것들은 ‘위빠-까 윈냐-나(vipāka viññāna)’를 통해 미래에 과보(결과)를 가져옵니다. 살아 있는 한, 아라한(Arahant)일지라도 그 위빠-까 윈냐-나(vipāka viññāna)를 경험하게 됩니다.

  • * 그러나 아라한은 죽음의 순간(쭈띠-빠띠산디_cuit-patisandhi 순간)에 새로운 바와(bhava)를 붙잡지 않습니다. 연기에서 ‘우빠-다-나 빳짜야- 바와(upādāna paccayā bhava) 단계가 아라한에게는 작용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아라한 성자는 어떤 바와(bhava)도 붙잡지 않습니다. 즉 우빠-다-나(upādāna, 밀접하게 끌어당김)가 없습니다.

 

15. 위 설명은 매우 압축하여 요약한 개관입니다. 어떤 것을 이해할 수 없더라도 실망하지 마세요. 관련 포스트를 읽고 그것에 대해 숙고해 보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의문나는 점은 토론 포럼( Forums 섹션)을 통해 논의할 수 있습니다.

{"google":["PT Serif"],"custom":["Nanum Gothic","Noto Sans KR"]}{"google":["PT Serif"],"custom":["Nanum Gothic","Noto Sans KR","Nanum Barun Gothic"]}
{"google":["Noto Sans KR"],"custom":["Nanum Goth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