퓨어 담마(Pure Dhamma)

붓다의 참된 가르침을 회복하기 위한 탐구


{"type":"img","src":"https://cdn.quv.kr/f5120tiws%2Fup%2F5c9ef7f87c581_1920.png","height":80}
  • 붓다 담마
  • 주요 담마 개념
  • 리빙 담마
  • 방 안의 코끼리
  • 담마와 과학
  • 세 단계 실천
  • 빠띳짜 사뭅빠다(연기)
  • 자아가 있는가?
  • 바와나(명상)
  • 아비담마
  • 담마빠다(법구경)
  • 숫따(경) 해석
  • 붓다 담마ㅡ상급
  • 음성법문
  • JBM 법문-녹취
  • 원문 홈
  • {"google":["PT Serif"],"custom":["Nanum Gothic","Noto Sans KR","Nanum Barun Gothic"]}

     

    위딱까, 위짜-라, 사위딱까, 사위짜-라, 및 아위딱까, 아위짜-라

     

    원문: Living Dhamma 섹션의 ‘Vitakka, Vicāra, Savitakka, Savicāra, and Avitakka, Avicāra’ 포스트

    2019년 3월 7일; 2019년 12월 3일 개정; 2022년 8월 29일 개정; 2023년 3월 25일 개정

     

    소개

     

    1. 위딱까(vitakka)/위짜-라(vicāra), 사위딱까(savitakka)/사위짜-라(savicāra), 및 아위딱까(avitakka)/아위짜-라(avicāra)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필자는 토론 포럼에서 만족스러운 결론에 도달하지 못하는 많은 토론을 보았으며, 대부분의 숫따 번역이 잘못되었음을 알았습니다. 특히, 사위딱까(savitakka)와 사위짜-라(savicāra)는 ‘위딱까(vitakka)와 위짜-라(vicāra)’로 잘못 번역되어 있습니다.

     

    • * 항상 그렇듯이, 기본 사항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심오한 숫따(sutta)에서 그런 핵심 낱말의 의미를 추출하려고 하는 것은 역효과를 낳습니다.

    • * 우리는 기본 정의와 함께 시작해야 합니다. 그러면 심오한 숫따(sutta)에 있는 구절의 의미를 그 기본 정의를 사용하여 파악할 수 있습니다. 필자는 이 방법이 항상 띠삐따까(Tipitaka, 삼장) 내에서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아 왔습니다.

    • * 띠삐따까(Tipitaka, 삼장)에서 이 포스트와 모순되는 숫따(sutta, 경)를 가리켜 보일 수 있으면 토론 포럼에서 코멘트를 해 주세요.

    • * 위숫디막가(Visuddhimagga, 청정도론)와 같은 후기 주석서에 적합하도록 애쓰면 ‘가능성이 있는 모순(불일치)’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위딱까와 위짜-라는 무엇인가?

     

    2. 딱까(takka), 위딱까(vitakka), 위짜-라(vicāra)라는 낱말(싱할라어로 각각 තර්ක, විතර්ක, විචාර)에 대해, 영어로 가장 가까운 말은 (자신의 견해에 기반한)  further/counter analysis(한층 더한/대응적 분석), investigate in depth(심층적으로 조사)일 수 있습니다. 그것들은 와찌 상카-라(vaci sankhāra) (‘자신에게 말함’), 즉 상깝빠(saṅkappa)와 동일합니다.

     

    • * 그 모든 낱말들은 생각 대상(ārammana, 아-람마나)에 대한 의식적 생각을 묘사합니다. 사람은 조용히 ‘자신에게 말하거나’ 상황을 분석하면서 밖으로 소리내어 말합니다.

     

    낱말에 대한 명확한 설명은 아비담마에 있는데, 섹션 ‘Dhātuvibhaṅga’에서 까-마 다-뚜(kāma dhātu), 브야-빠-다 다-뚜(byāpāda dhātu), 위힝사- 다-뚜(vihiṃsā dhātu), 넥캄마 다-뚜(nekkhamma dhātu), 아브야-빠-다 다-뚜(abyāpāda dhātu), 아위힝사- 다-뚜(avihiṃsā dhātu)에 대한 논의가 있습니다.

     

    • * 예를 들어, “Tattha katamā kāma dhātu? Kāmapaṭisaṃyutto takko vitakko saṅkappo appanā byappanā cetaso abhiniropanā micchā saṅkappo—ayaṃ vuccati kāma dhātu”.

     

    번역:까-마(kāma)(감각적 생각에 탐닉)의 요소는 무엇인가? 감각 대상의 분석/조사잘못된 생각을 확립하는 것으로 이끈다. 그것이 욕망/탐닉의 요소다”. 

    즉, 끊임없이 그런 감각적(kāmapaṭisaṃyutto) 생각들을 불러 일으키면, (까-마 라-가와 관련된) 까-마 요소(kāma elemenat)가 쌓입니다.

     

    • * 비슷한 설명은 다른 곳에서도 찾을 수 있습니다. ‘Nibbedhika Sutta (AN 6.63)’는 “Saṅkappa rāgō purisassa kāmō, Nete kāmā yāni citrāni lōkē..”라고 말합니다.

     

    번역:사람의 까-마는 이 세상의 그 즐거운 것들(citrāni lōkē)에 들러붙고 생각하는 것이다(saṅkappa rāga). 이 세상에 있는 그 아름다운 것들은 까-마가 아니다.”

     

    3. 그 반대인, 넥캄마(nekkhamma)의 요소는 “Tattha katamā nekkhammadhātu? Nekkhammapaṭisaṃyutto takko vitakko, saṅkappa, … pe … sammā saṅkappo—ayaṃ vuccati nekkhamma dhātu)”로 정의됩니다.

     

    • * 번역:감각적 생각의 포기의 요소는 무엇인가? 감각 대상의 포기의 분석/조사는 (오염물의 제거로 이끄는) 올바른 생각을 확립하는 것으로 이끈다. 이것을 포기의 요소라고 한다”. 즉, 끊임없이 그런 생각들을 불러 일으키면, 까-마 라-가(kāma rāga)는 감소됩니다.

    • * 브야-빠-다(화난/증오에 찬) 다-뚜(byāpāda dhātu), 위힝사-(잔인한) 다-뚜(vihiṃsā dhātu), 그리고, 그 반대인 아브야-빠-다(친절한) 다-뚜(abyāpāda dhātu), 아위힝사-(연민을 느끼는) 다-뚜(avihiṃsā dhātu)는 위와 유사하게 정의됩니다.

    • * (삼마- 상깝바에서와 같이) 와찌 상카-라(‘자신에게 말함’)와 상깝빠 사이의 관계를 아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와찌 상카-라의 두 번째 버전은 ‘소리내어 말함’을 수반합니다. ‘와찌- 상카-라의 바른 의미’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와찌 상카-라는 상깝빠(의식적 생각)다

     

    4. 이제 까-마kāma(아빗자-abhijjā) 상깝빠(saṅkappa), 브야-빠-다(byāpāda, vyāpāda) 상깝빠(saṅkappa), 위힝사- 상깝빠(vihiṃsā saṅkappa)가 모두 나쁜 와찌 상카-라(vaci sankhāra)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것들은 탐함, 미워함, 미혹함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 * 그것들의 반대는 넥깜마(nekkhamma, 감각적 욕망의 포기), 아브야-빠-다(abyāpāda,화냄의 포기), 아위힝사-(avihiṃsā, 잔인함의 포기)로서, 삼마- 상깝빠(Sammā Saṅkappa)와 연관되어 있습니다.

    • * 삼마- 상깝빠(Sammā Saṅkappa)는 성스런 팔정도에서 삼마- 딧티(Sammā Diṭṭhi)의 다음에 옵니다. 그러므로, 와찌 상카-라(vaci sankhāra)의 중요성을 알 수 있습니다.

     

    5. ‘Cūḷavedalla Sutta (MN 44)’에서, “위딱까 위짜-라- 와찌- 상카-로(vitakka vicārā vacī saṅkhāro)”, 즉 “와찌- 상카-라는 ‘위딱까 위짜-라’다”라고 명확하게 정의된 것과 같이, 이제 또한 ‘와찌 상카-라’와 관계를 알 수 있습니다. 

     

    • * 와찌 상카-라(Vaci sankhāra)는  ‘말없이 생성하는 의식적인 생각’과, 입술, 혀 등을 움직여 말을 하는 생각을 의미합니다. 증오에 찬 또는 탐하는 말은 아뿐나-비 와찌 상카-라(apunnābhi vaci sankhāra, 강성 부도덕적 와찌 상카-라) 때문입니다. 담마(Dhamma) 개념에 대해 생각하는 것은 뿐나-비 와찌 상카-라(punnābhi vaci sankhāra, 강성 도덕적 와찌 상카-라)입니다. 와찌 상카-라에 대해서는 ‘와찌- 상카-라의 바른 의미’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와찌 상카-라(위딱까 위짜-라-)는 상깝빠다

     

    6. 이것은 다른 중요한 숫따(sutta)인 ‘Mahācattārīsaka Sutta (MN 117)’ 에서 다음과 같이 언급되어 있습니다.

     

    “Katamo ca, bhikkhave, sammā saṅkappo ariyo anāsavo lokuttaro maggaṅgo? Yo kho, bhikkhave, ariyacittāsa anāsavacittāsa ariyamaggasamaṅgino ariyamaggaṃ bhāvayato takko vitakko saṅkappo appanā byappanā cetaso abhiniropanā vacī saṅkhāro—ayaṃ, bhikkhave, sammā saṅkappo ariyo anāsavo lokuttaro maggaṅgo..”

     

    • * 번역: “그리고 빅쿠들이여, 성스럽고, 아-사와(āsava)가 없고, 세간을 초월하고, 성스런 길의 요소인 삼마- 상깝빠(Sammā Saṅkappa)는 무엇인가? 그것들은 갈망이 없고(anāsava cittāsa), 분석/조사(takko vitakko saṅkappo)가 함께 하는 성스런 길에 속하는(ariyamaggasamaṅgino ariyamaggaṃ bhāvayato), 성스런 생각들(ariya cittassa)이다. 그것은 성스럽고 성스런 길의 요소인 삼마- 상깝빠(Sammā Saṅkappa)다”.

     

    위딱까는 대개 ‘나쁜 상깝바’를 지칭하여 사용된다

     

    7. ‘Akusala Vitakka Sutta (SN 9.11)’ 는 다음과 같이 한 예를 보여 줍니다.

    “Tena kho pana samayena so bhikkhu divāvihāragato pāpake akusale vitakke vitakketi, seyyathidaṃ—kāma vitakkaṃ, byāpāda vitakkaṃ, vihiṃsā vitakkaṃ)”.

     

    • * 번역: “그 빅쿠는 쉬는 시간 동안 매우 부도덕하고(pāpa, 빠-빠) 해로운 위딱까(akusala vitakka)를 만들어 내고 있었다. 그것들은 감각적이고 악의 있고 잔혹한 생각이었다.”

    • * 같은 숫따(sutta, 경)에 있는 또 다른 구절로, “Ayoniso manasikārā, so vitakkehi khajjasi..”가 있으며, 이는 “그릇된 심적 경향(아요니소 마나시까라, ayoniso manasikara)으로, 그런 오염된 생각을 일으켜 짐을 지고 있다.”는 뜻입니다.

     

    8. 간결한 설명은 ‘Vitakka Sutta (SN 56.7)’에서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숫따(sutta)의 기본 개념이 담긴 부분을 옮기면 다음과 같습니다.

     

    • * “빅쿠들이여, 불건전하고(해롭고) 악한 생각, 즉 감각을 즐기는 생각, 나쁜 의도의 생각, 남을 해치는 생각을 하지 말아야 한다(pāpake akusale vitakke vitakkeyyātha, seyyathidaṃ— kāma vitakkaṃ, byāpāda vitakkaṃ, vihiṃsā vitakkaṃ).”

    • * “무슨 이유 때문인가? 빅쿠들이여, 이 생각들은 정말로 본질적이지 않고(실속이 없고)(Nete, bhikkhave, vitakkā atthasaṃhitā), 성스런 삶의 근본과 무관하고, 감각 세계로부터 벗어남으로/ 들러붙지 않음으로/ 그침으로/ 평화로움으로/ 직접적 앎으로/ 깨달음으로/ 열반으로 이끌지 않는다. 빅쿠들이여, 마음이 그런 생각들을 하기 시작하면, ‘이것은 괴로움(고통)으로 이끌 것이다’라고 생각해야 한다.”

    • * “그 대신에, ‘이것들은 괴로움(고통)의 원인이다’라고 생각해야 한다.  ‘금욕과 연민의 생각을 기르는 것이 괴로움(고통)의 소멸에 이르는 길이다’라고 생각해야 한다. 그런 생각들은 감각 세계로부터 벗어남으로/ 들러붙지 않음으로/ 그침으로/ 평화로움으로/ 직접적 앎으로/ 깨달음으로/ 열반으로 이끈다.” 

     

    위딱까/위짜-라와 사위딱까와 사위짜-라

     

    9. 위딱까(vitakka)위짜-라(vicāra)라는 낱말은 ‘나쁜 생각’이나 ‘오염된 생각’을 가리킵니다.

     

    • * 반면에, 사위딱까(savitakka)사위짜-라(savicāra)는 ‘좋고 건전한 생각들’을 가리킵니다.

    • * 그러므로, 위딱까(vitakka)위짜-라(vicāra)는 항상 ‘스트레스가 있는 마음’과 미래에 나쁜 위빠-까로 이어집니다. 

    • * 동일한 식으로, 사위딱까(savitakka)사위짜-라(savicāra)는 항상 ‘고요하고 스트레스가 없는 마음’과 미래에 좋은 위빠까로 이어집니다.

     

    10. 특별히 까-마 라-가(kāma rāga) 또는 다른 아꾸살라(akusala)를 수반하지 않는 생각을 할 때, 그것들은 사위딱까(savitakka)사위짜-라(savicāra)라고 합니다.  까-마 라-가(kāma rāga)와 아꾸살라(akusala)의 반대는 각각 넥캄마(nekkhamma)꾸살라(kusala)입니다.

     

    • * 그것은 위딱까/위짜-라(vitakka/vicāra)를 제거하거나 누르고 사위딱까/사위짜-라(savitakka/savicāra)를 길러서, 자-나(jhāna)에 들어가는 방법입니다.

     

    11. 자-나(jhāna)를 묘사하는 어떤 숫따(sutta, 경)에서 그것을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Tapussa Sutta (AN 9.41)’에서는 다음과 같이 묘사하고 있습니다.

    ".. soho ahaṃ, ānanda, vivicceva kāmehi vivicca akusalehi dhammehi savitakkaṃ savicāraṃ vivekajaṃ pītisukhaṃpaṭhamaṃ jhānaṃ upasampajja viharāmi."

     

    • * 번역: “아난다여, 까-마 라-가(kāma rāga)와 아꾸살라(akusala)가 함께 하는 위딱까(vitakka) / 위짜-라(vicāra)를 멀리하고, 사위딱까(savitakka) / 사위짜-라(savicāra)를 기를 때, 첫번째 자-나(jhāna, 선정)에 들어가게 될 것이다."

    • * 그러나, 아나리야 자-나의 경우에는 까-마 라-가(kāma rāga) 및/또는 아꾸살라(akusala)가 함께 하는 위딱까(vitakka) / 위짜-라(vicāra)가 가끔 마음에 떠오를 수 있습니다.

    • * ‘따뿟사 숫따(AN 9.41) ㅡ 아꿉빠- 쩨-또-위뭇띠’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아위딱까와 아위짜-라

     

    12. 어떤 ‘나쁜 생각’이 없는 것을 아위딱까(avitakka), 아위짜-라(avicāra)라고 합니다. 이 경우에는 사위딱까(savitakka)와 사위짜-라(savicāra) (좋은 생각)만 있을 것입니다. 그것은 아리야 자-나에서 가능합니다.

     

    • * 이것은 두번째 자-나(jhāna, 선정)에서 일어나며, 여기서는 사위딱까(savitakka) / 사위짜-라(savicāra)만 있습니다.

    • * 그러므로, 아위딱까(avitakka)/아위짜-라(avicāra)는 ‘생각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님을 깨닫는 것이 본질적인데, 그것은 단지 감각적 또는 부도덕한 생각이 없음을 의미합니다. 

     

    13. 이것은 ‘Upakkilesa Suatta (MN 128)’의 마지막 부분에 있는 다음과 같은 구절로 아주 분명합니다.

    “..So kho ahaṃ, anuruddhā, savitakkampi savicāraṃ samādhiṃ bhāvesiṃ, avitakkampi vicāramattaṃ samādhiṃ bhāvesiṃ, avitakkampi avicāraṃ samādhiṃ bhāvesiṃ, sappītikampi samādhiṃ bhāvesiṃ, nippītikampi samādhiṃ bhāvesiṃ, sātasahagatampi samādhiṃ bhāvesiṃ, upekkhāsahagatampi samādhiṃ bhāvesiṃ..”

     

    • * 번역: “아누룻다여, 나는 체계적으로 다음 순서대로 사마-디(samādhi)를 길렀다. 사위딱까 사위짜-라 사마-디(savitakka savicāra samādhi), 아위딱까 위짜-라맛땅 사마-디(avitakka vicāramattaṃ samādhi, 위짜-라의 흔적이 남아 있고 위딱까가 없는 사마-디), 아위딱까 아위짜-라 사마-디(avitakka avicāra samādhi, 위딱까와 위짜-라가 없는 사마-디), 삽삐-띠깜삐 사마-디(sappītikampi samādhi, 삐띠/희열이 있는 사마-디), 닙삐-띠깜삐 사마-디(nippītikampi samādhi, 삐띠/희열이 없는 사마-디), 사-따사하가땀삐 사마-디(sātasahagatampi samādhi, 수카만 남아있는 사마-디), 우뻭까-사하가따 사마-디(upekkhāsahagata samādhi, 수카 또한 제거되어 우뻭까 상태에 있는 사마-디)”.

    • * 붓다께서 위에서 묘사하신 것은 ‘사위딱까 사위짜-라(savitakka savicāra)’로 첫번째 자-나에 이르고, 그 다음 ‘위딱까’와 ‘위짜-라’가 없는(삐띠와 수카가 있음) 두번째 자-나에, 수카만 있는(삐띠가 제거됨) 세번째 자-나에, 그리고 수카 또한 제거되고 우뻭까만 있는 네번째 자-나에 이르러신 것입니다. 

    • * 각 연속 단계에서 자-나-안가(jhānānga, 선정의 요소)가 제거되는 아리야 자-나(Ariya jhāna)에 대한 설명은 예를 들어, ‘Rahogata Sutta (SN 36.11)’를  참조하세요.

     

    요약

     

    14. 상카-라(sankhāra)에는 다른 유형이 있으므로, 다양한 유형의 상카-라(sankhāra)의 면(뿐나-비상카-라, 아뿐나-비상카라, 아넨자-비상카-라)에서 위딱까(vitakka)/위짜-라(vicāra), 사위딱까(savitakka)/사위짜-라(savicāra), 아위딱까(avitakka)/아위짜-라(avicāra)의 이 기본 정의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개념을 얻는 것이 필요합니다. 와찌 상카라’의 바른 의미 포스트와, ‘상카-라와 그 진정한 의미’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15. 마지막으로, ‘Savitakkasavicara Sutta (SN 43.3)’에서는 다음 순서, 즉  ‘사위딱까 사위짜-라 사마-디(savitakka savicāra samādhi), 아위딱까 위짜-라맛땅 사마-디(avitakka vicāramattaṃ samādhi, 위짜-라의 흔적이 남아 있고 위딱까가 없는 사마-디), 아위딱까 아위짜-라 사마-디(avitakka avicāra samādhi, 위딱까와 위짜-라가 없는 사마-디)’를 통해 닙바-나에 이르는 것을 분명히 밝히고 있습니다(asaṅkhatagāmi maggo). 

    “Katamo ca, bhikkhave, asaṅkhatagāmimaggo? Savitakkasavicāro samādhi, avitakkavicāramatto samādhi, avitakkaavicāro samādhi—ayaṃ vuccati, bhikkhave, asaṅkhatagāmimaggo.”

    {"google":["PT Serif"],"custom":["Nanum Gothic","Noto Sans KR"]}{"google":["PT Serif"],"custom":["Nanum Gothic","Noto Sans KR","Nanum Barun Gothic"]}
    {"google":["Noto Sans KR"],"custom":["Nanum Goth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