퓨어 담마(Pure Dhamma)

붓다의 진정한 가르침을 회복하기 위한 탐구


{"google":["PT Serif","Noto Sans KR"],"custom":["Nanum Gothic","Nanum Barun Gothic"]}


빤냐-위뭇띠 - 자-나없이 달성된 아라한과


원문 : Living Dhamma 섹션의 ‘Pannāvimutti – Arahanthood without Jhāna’ 포스트

2018년 9월 12일; 2019년 2월 24일 개정


1. 자-나(jhāna)를 거치지 않고 막가 팔라(magga phala, 도과)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고귀한 팔정도가 완성되면 삼마- 사마-디(Sammā Samādhi)에 이르게 됩니다. 그 후, 아라한이 되기 위한 다음 두 단계인 삼마- 냐-나(Sammā Ñāna)와 삼마- 위뭇띠(Sammā Vimutti)를 완료하여 아라한이 됩니다.


이것은 ‘Maha Cattarisika Sutta (Majjhima Nikaya 117)’에 다음과 같이 명확하게 설해져 있습니다.

“..따뜨라, 빅카웨, 삼마-딧티 뿝방가마- 호띠. 까탄짜, 빅카웨, 삼마-딧티 뿝방가마- 호띠? 삼마-딧팃사, 빅카웨, 삼마-상깝뽀 빠호띠, 삼마-상깝빳사 삼마-와-짜- 빠호띠, 삼마-와-짯사 삼마-깜만또 빠호띠, 삼마-깜만땃사 삼마-아-지-오 빠호띠, 삼마-아-지-왓사 삼마-와-야-모 빠호띠, 삼마-와-야-맛사 삼마-사띠 빠호띠, 삼마-사띳사 삼마-사마-디 빠호띠, 삼마-사마-딧사 삼마-냐-낭 빠호띠, 삼마-냐낫사 삼마-위뭇띠 빠호띠. 이띠 꼬, 빅카웨, 앗탕가사만나-가또 섹코, 다상가사만나-가또 아라하- 호띠. 따뜨라삐 삼마-냐-네나 아네께 빠-빠까- 아꾸살라- 담마- 위가따- 바-와나-빠-리뿌-링 갓찬띠..

(..Tatra, bhikkhave, sammādiṭṭhi pubbaṅgamā hoti. Kathañca, bhikkhave, sammādiṭṭhi pubbaṅgamā hoti? Sammādiṭṭhissa, bhikkhave, sammāsaṅkappo pahoti, sam­māsaṅkap­passa sammāvācā pahoti, sammāvācassa sammākammanto pahoti, sammā­kamman­tassa sammāājīvo pahoti, sammāājīvassa sammāvāyāmo pahoti, sammāvāyāmassa sammāsati pahoti, sammāsatissa sammāsamādhi pahoti, sammā­samā­dhissa sammāñāṇaṃ pahoti, sammāñāṇassa sammāvimutti pahoti. Iti kho, bhikkhave, aṭṭhaṅ­ga­saman­nā­gato sekkho, dasaṅ­ga­saman­nā­gato Arahā hoti. Tatrapi sammāñāṇena aneke pāpakā akusalā dhammā vigatā bhāva­nā­pāri­pūriṃ gacchanti..)”


  • * 따라서 고귀한 길은 삼마- 딧티(Sammā Ditthi)에서 시작하여 삼마- 사마-디(Sammā Samādhi)에 이르고, 이 시점에서 8단계를 완료했으며 아직까지는 훈련 중인 섹카(sekkha), 즉, 앗탕가사만나-가또 섹코(aṭṭhaṅ­ga­saman­nā­gato sekkho)입니다.

  • * 그리고 나서, 삼마- 냐-나(Sammā Ñāna)로 진정한 특성을 완전히 이해하고, 완전한 해방, 즉 삼마- 위뭇띠(Sammā Vimutti, 아라한과)를 얻습니다. 이제 10단계를 모두 완성했고 더 이상 훈련이 필요하지 않습니다(dasaṅ­ga­saman­nā­gato Arahā hoti).


2. 우리 각자 모두는 깊은 과거 동안, 많은 태어남에서 아나-리야 자-나(anāriya jhāna, 세간 선정)를 성취했습니다. 그래서 자-나(jhāna, 선정)를 얻는 것은 막가 팔라(magga phala, 도과)를 얻는 것에 비하면 보잘 것 없습니다.


  • * 소-따빤나 아누가-미(Sōtapanna Anugāmi, 수다원도)조차도 자-나(jhāna, 선정)에 들어갈 수 있는 능력만이 아니라 공중을 날아다닐 수 있는 능력이나 마음의 힘으로 사물을 창조하는 것 등을 포함한 신통력까지 보다도 백만 배 이상 우수하다는 것도 분명합니다.

  • * 보기에 딱하게도, 많은 사람들이 자-나(jhāna, 선정)에 들러붙어 막가 팔라(magga phala)를 얻으려는 노력을 멈추기 때문에, 자-나(jhāna, 선정)를 얻는 것이 때때로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3. 자-나(jhāna, 선정)를 기르는 데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특히 최근의 과거 삶에서 자-나를 기르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더욱 그렇습니다. 높은 지혜(paññā, 빤냐-)를 가진 사람들은 아주 짧은 시간 내에 막가 팔라(magga phala, 도과)(심지어, 아라한과 조차도)를 얻을 수 있으며, 그들을 빤냐-위뭇띠 아라한뜨(paññāvimutti Arahant, 지혜 해탈자)라고 합니다. 붓다(Buddha)께서 말씀하신 단 한 구절을 듣고 아라한과(Arahantship)를 얻은 바히야 다루지리야(Bahiya Daruchiriya)가 그 좋은 예입니다. ‘Bahiya Sutta (Udana 1.10)’를 참조하세요.


  • * 그 숫따(sutta, 경)에서, 붓다(Buddha)께서는 수시마(Susima)에게 어떤 초능력적(iddhi, 잇디) 힘도 없는 아라한들이 있다고 설명하셨습니다. 그 아라한들은 빤냐-위뭇띠 아라한뜨(paññāvimutti Arahant) 였기 때문입니다.  아라한과에 도달하면, 그들은 그 초능력적 힘(신통력)의 아닛짜(anicca) 특성을 너무나 보았기 때문에 잇디(아빈냐-, abhiññā, 신통)를 계발하고자 하지 않습니다.


4. 몇몇 예외적인 경우에, 아주 짧은 시간 안에 아라한과(Arahanthood)와 함께 아빈냐(abhiññā, 신통) 힘을 동시에 얻을 수도 있습니다.


  • * 자-나(jhāna, 선정)에 도달하지도 않고 막가 팔라(magga phala, 도과)를 얻은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알라와까 약사(Alavaka Yaksa), 우빠띳사(Upatissa), 꼴리따(kolita), 앙굴리말라(Angulimala), 산따띠(Santati) 대신과, 그 외에 많은 사람들이 단 한 번의 법문(데사나-, desanā)만 듣고도 닙바-나(Nibbāna)의 다양한 단계에 도달했습니다. 산따띠(Santati) 대신에 대한 이야기는 'Dhammapada Verse 142’ 에서 볼 수 있습니다.

  • * 띠삐따까(Tipitaka, 삼장)에서 또 다른 두드러진 예는 쭐라빤타까 테로(Culapanthaka Thero)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그는 몇 달 동안 열심히 노력한 후에도 단 하나의 가-타-(gāthā,게송) 조차 외울 수 없었기 때문에 승단에서 거의 추방될 지경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붓다의 도움으로 하루 만에 아라한과(Arahanthood, 아라한뜨후드)를 달성할 수 있었으며, 그리고 동시에 아빈냐-(abhiññā, 신통)의 힘까지 얻을 수 있었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Cūḷa­pantha­ka’를 보세요.


5. 일부 사람들은 삿짜 위방가 숫따(‘Sacca Vibhanga Sutta (MN 141)’)에 따르면 삼마- 사마-디(Sammā Samādhi)는 처음 네 가지 자-나(jhāna, 선정)를 얻을 때만 달성된다고 주장합니다. 이런 주장은 올바르지 않습니다. 단지 우리가 할 필요가 있는 것은 네 가지 자-나(jhāna, 선정) 중 어떤 것에라도  근접한 상태가 되고, 그래서 예를 들면, 첫 번째 선정을 위한 우빠짜-라 사마-디(upacāra samādhi, 근접삼매)에 도달할 수 있고, 그리고, 거기서 막가 팔라(magga phala, 도과)를 얻는 것입니다.


  • * 여기에 위 ‘삿짜 위방가 숫따’에 있는 관련 구절이 인용합니다. “..까따모 짜-우소, 삼마-사마-디? 이다-우소, 빅쿠 위윗쩨와 까-메히 위윗짜 아꾸살레히 담메히 사위딱깡 사위짜-랑 위웨까장 삐띠수캉 빠타망 자-낭 우빠삼빳자 위하라띠, 위딱까위짜-라-낭 우-빠사마- 앗잣땅 삼빠사-다낭 쩨따소 에꼬디바-왕 아위딱깡 아위짜랑 사마-디장 삐-띠수캉 두띠양 자-낭 우빠삼빳자 위하라띠, 삐-띠야- 짜 위라-가- 우뻭카꼬 짜 위하라띠 … 뻬 … 따띠양 자-낭 … 뻬 … 짜뚯탕 자-낭 우빠삼빳자 위하라띠, 아양 웃짯따-우소: ‘삼마-사마-디’..(..Katamo cāvuso, sammāsamādhi? Idhāvuso, bhikkhu vivicceva kāmehi vivicca akusalehi dhammehi savitakkaṃ savicāraṃ vivekajaṃ pītisukhaṃ paṭhamaṃ jhānaṃ upasampajja viharati, vitak­ka­vicārā­naṃ vūpasamā ajjhattaṃ sampasādanaṃ cetaso ekodibhāvaṃ avitakkaṃ avicāraṃ samādhijaṃ pītisukhaṃ dutiyaṃ jhānaṃ upasampajja viharati, pītiyā ca virāgā upekkhako ca viharati … pe … tatiyaṃ jhānaṃ … pe … catutthaṃ jhānaṃ upasampajja viharati, ayaṃ vuccatāvuso: ‘sammāsamādhi’..)”.

  • * 열쇠는 "우빠삼빳자 위하라띠(upasampajja viharati)"인데, 이는 그 자-나(jhāna) 중 어느 하나에 가깝게 머물러 있다는 것(‘upa’는 ‘가까운’ 또는 ‘근처에’의 의미임)을 의미하며, 그 자-나(jhāna)에 도달할 수 있거나 그 자-나(jhāna)를 위한 우빠짜-라 사마-디(upacāra samādhi)에 도달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것이 ‘삼마- 자-나(Sammā Jhāna)’가 아니라, ‘삼마 사마-디(Sammā Samādhi)’라고 표시한 이유입니다.

  • * 이것은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이, 89 가지 종류의 찟따(citta)가 어떻게 121 가지 찟따(citta)로 되는지를 분석할 때 명백해집니다.


6. 31영역에 있는 89(또는 121)가지 찟따(citta)는 ‘The 89 (121) Types of Citta’ 포스트에 논의되어 있습니다.


  • * 주로 까-마-와짜라(kāmāvacara, 욕계) 영역에서 일어날 수 있는 54 가지의 찟따(citta)가 있습니다. 15 가지 및 12 가지 찟따(citta)는 각각 주로 루-빠-와짜라(rūpāvacara, 색계) 및 아루-빠-와짜라(arūpāvacara, 무색계) 영역에서 일어납니다. 지금까지 합계는 81 가지 찟따(citta)입니다.

  • * 어떤 자-나(jhāna, 선정)도 전혀 거치지 않고 닙바-나(Nibbāna)의 네 단계 달성과 관련된 8 가지 찟따(4 가지 막가 찟따와 4가지 팔라 찟따)가 있습니다. 그러면 찟따의 총 종류는 81 +8 = 89 가지입니다.

  • * 이제, 5 가지 루-빠-와짜라 자-나(rūpāvacara jhāna)에 근접한 상태에서 각 막가 팔라(magga phala, 도과)를 얻을 수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라한과(Arahanthood)는 그 5 가지 자-나(jhāna)에 근접한 상태에서 도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경우 찟따의 총  종류는 81 + 40 = 121 가지가 됩니다.

  • * 아비담마(Abhidhamma)의 용어에서 5 가지 자-나(jhāna, 선정)는 숫따(sutta)의 용어에서 4 가지 자-나(jhāna, 선정)와 동일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숫따(sutta) 용어의 첫 번째 자-나(jhāna)는 아비담마(Abhidhamma)에서 두 개로 나뉘어집니다.


7. 아비담마(Abhidhamma)에서, 위 설명은 막가 팔라(magga phala)에 도달하는 찟따 윗티(citta vithi)에서 보면 훨씬 더 분명하게 됩니다.


B B B B B “BC BU MD P U A G M P P” B B B B B…..

여기서, B = 바왕가(bhavanga), BC = 바왕가 짤라나(bhavanga calana, 바왕가 동요), BU = 바왕가 웃쩨다(bhavanga uccheda, 바왕가 끊어짐), MD = 마노드와라 아-왓자나(manodvāra āvajjana, 의문전향), P = 빠리깜마(parikamma, 준비), U = 우빠짜-라(upcāra, 근접), A = 아누로-마(anulōma, 수순), G = 고뜨라부-(gotrabhū, 종성, 계보의 변화), M = 막가 찟따(magga citta, 도의 마음), P = 팔라 찟따(phala citta, 과의 마음).


  • * 그래서, 막가 팔라(magga phala)에 도달하는 찟따 윗티(citta vithi)에서 막가 찟따(magga citta, 도의 마음)나 팔라 찟따(phala citta, 과의 마음)에 선행하는 자-나 찟따(jhāna citta)가 없습니다. 우빠짜-라 사마-디(upacāra samādhi)에 도달하면, 아누로-마(anulōma)와 고뜨라부-(gotrabhū, 계보의 변화)를 통해 막가 찟따(magga citta)와 팔라 찟따(phala citta)로 갑니다. 이런 이유로 삼마- 사마-디(Sammā Samādhi)인 우빠짜-라 사마-디(upacāra samādhi)는 아라한과(Arahanthood)까지 달성하기에 충분합니다.


8. 한편, 자-나(jhāna)에 도달하는 찟따 위티(citta vithi)는 다음과 같습니다.


B B B B B “BC BU MD P U A G J” B B B B B…..

여기서, J = 자-나 찟따(jhāna citta).


  • * 자-나(jhāna)에 들어가기 위한 우빠짜-라 찟따(upacāra citta)는 막가 팔라(magga phala)에 들어가기 위한 우빠짜-라 찟따(upacāra citta)와 비록 동일한 기호로 표시되어 있지만, 서로 다르다는 점에 주목하세요. 우빠짜-라(upacāra)는 두 가지 서로 다른 목표(성취)인 자-나(jhāna) 또는 막가 팔라(magga phala)에 ‘근접한’을 의미합니다. 앞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자-나(선정)는 이 세상과 연관되어 있고, 막가 팔라는 닙바-나(열반)와 연관되어 있습니다. 

  • * 고뜨라부-(Gotrabhū, 계보의 변화) 찟따는 막가 팔라(magga phala) 또는 자-나(jhāna)로 유도하는 것으로서, 그 두 가지는 서로 매우 다른 변화입니다. 자-나(jhāna)는 그 계보가 단지 31 영역 중 하나로 변경되는 반면, 막가 팔라( magga phala)는 그 계보가 31 영역에서 분리되는 것입니다.

  • * 찟따 위티(citta vithi)에 대한 논의는 ‘Citta Vithi – Processing of Sense Inputs’ 포스트를 보세요.


9. 띠삐따까(Tiptaka, 삼장)에는 소-따빤나(Sōtapanna, 수다원) 단계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첫 번째 아리야 자-나(first Ariya jhāna)조차 얻을 필요가 없다는 강력한 또 다른 증거가 있습니다. 우리 모두는 목갈라나 존자(빅쿠가 되기 전에는 ‘꼴리따’)께서 앗사지 존자(Ven. Assaji)로부터 우빠띳사(사리뿟따 존자)를 통해 전달된 한 구절 말씀을 듣고 소-따빤나(Sōtapanna, 수다원) 단계에 이르렀다는 것을 잘 압니다.


  • * 그리고 꼴리따(Kolita)와 우빠띳사(Upatissa)는 붓다를 뵈러 가서 출가 제자가 되었습니다. 두 사람은 아라한뜨후드(아라한과)를 얻는데 1~2주가 걸렸습니다. Moggallana Samyutta in the Samyutta Nikaya 에는 목갈라나 존자께서 첫 번째 아리야 자-나(first Ariya jhāna)에서 시작하여 하나씩 아리야 자-나(Ariya jhāna, 출세간 선정)를 어떻게 얻었는지를 단계별로 설명하는 9개의 숫따(sutta, 경)가 있습니다. 이것은 소-따빤나(Sōtapanna, 수다원)  단계에 도달하기 전에 어떤 아리야(Ariya, 출세간) 자-나(jhāna, 선정)도 얻을 필요가 없다는 결정적인 증거입니다. 

  • * 특히, 첫 번째 경은 붓다께서 어떻게 잇디 발라(iddhi bala, 신통력)로 목갈라나 존자에게 와서 첫 번째 아리야 자-나(first Ariya jhāna)를 기르도록 격려했는지가 다음과 같이 설명되어 있습니다(Paṭha­ma­jhāna­ Pañhā­ Sutta; SN 40.1 참조). “..아타 코 망 아-우소, 바가와- 잇디야- 우빠상까미뜨와- 에따다오짜: ‘목갈라-나, 목갈라-나. 마-, 브라-흐마나, 빠타망 자-낭 빠마-도, 빠타메 자-네 찟땅 상타뻬히, 빠타메 자-네 찟당 에꼬딩 까로히, 빠타메 자-네 찟땅 사마-다하-’띠..(..Atha kho maṃ, āvuso, bhagavā iddhiyā upasaṅkamitvā etadavoca: ‘moggallāna, moggallāna. Mā, brāhmaṇa, paṭhamaṃ jhānaṃ pamādo, paṭhame jhāne cittaṃ saṇṭhapehi, paṭhame jhāne cittaṃ ekodiṃ karohi, paṭhame jhāne cittaṃ samādahā’ti..)”. 번역(일부): “붓다께서 신통력으로 나에게 와서 말씀하셨습니다. ‘목갈라나여, 목갈라나여, 브라흐마나여, 늦추지 말고 첫 번째 선정을 기르도록 하라..”.

  • * ‘목갈라나 상윳따(Moggallana Samyutta)의 이어지는 경에서는, 붓다께서 어떻게 목갈라나 존자에게 각각 연속하여 색계 선정과 무색계 선정을 거쳐 니로-다 사마-빳띠(nirōdha samāpatti)에 이르기까지 가르쳤고, 그에 따라 목갈라나 존자는 모든 신통력(iddhi bala, 잇디 발라)을 계발하여, 신통력에 있어서는 ‘붓다 다음으로만 제2인자(붓다의 제1제자)’가 되었음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자-나를 통해 닙바-나로 가는 길’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10. 그러므로, 두 가지 길을 통해 더 높은 닙바-나(Nibbāna)의 단계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 * 첫 번째 길은 자-나(jhāna)를 기르고 그 자-나(선정)의 아닛짜 특성을 이해함에 의해 잇달아 더 높은 자-나를 달성하고(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그것들은 여전히 이 세상에 속함), 그리고 잇달아서 자-나 요소를 제거하는 것입니다.

  • *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더 언급하겠지만, 요점은 그 자-나(선정) 상태는 둑카 둑카(dukkha dukkha, 고통 자체인 둑카)로부터 일시적으로 벗어나더라도 여전히 상카-라 둑카(sankhāra dukkha, 형성함에 의한 둑카)와 위빠리나-마 둑카(viparināma dukkha, 예상치 못하게 변화됨에 의한 둑카)를 받게 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 * 두 번째 길은 자-나(jhāna, 선정)가 필요하지 않으며, 삼마- 사마-디(Sammā Samādhi)로 충분합니다. 더 높은 레벨의 지혜(paññā, 빤냐-)가 있는 이들은 자-나(jhāna, 선정)를 통하지 않고도 닙바-나(Nibbāna)의 더 높은 단계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11. 두 번째 길은 끼맛티야 숫따( ‘Kimatthiya Sutta (Anguttara Nikaya 11.1)’ )에 언급되어 있습니다. 여기서는(두 번째 길에서는), 둑카(dukkha)를 이해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삿다-(saddhā), 삐띠(piti), 빳사디(passadhi), 수카(sukha), 사마-디(samādhi), 야타부타나나닷사나(yathabhutananadassana), 닙비다(nibbida), 위라가(viraga), 그리고 위뭇띠(vimutt)에 이르는 단계를 통해 닙바-나(Nibbāna)에 이를 수 있습니다. ‘Upanisa Sutta (Samyutta Nikaya 12.23)’ 를 보세요..


  • * 출세간 삼마- 딧티(lōkōttara Sammā Ditthi)로 시작하여 아리야칸-따 실라(ariyakānta sila), 즉 삼마- 와짜(Sammā Vaca), 삼마- 깜만따(Sammā Kammanta), 삼마- 아지와(Sammā Ajiva)를 따르면, 자동적으로 삼마- 와-야-마(Sammā Vāyāma), 삼마- 사띠(Sammā Sati) 및 삼마- 사마-디(Sammā Samādhi)에 도달합니다. 이 세가지 요소(후자 세가지)는 사마-디(Samādhi)를 구성합니다. 덧붙여 말하면, 삼마- 딧티(Sammā Ditthi)와 삼마- 상깝빠(Sammā Sankappa)는 빤냐-(paññā, 지혜)를 구성합니다. 그래서 순서는 빤냐-(paññā), 실라(sila), 사마-디(samādhi)입니다.

  • * 그 삼마- 사마-디(Sammā Samādhi)는 삼마- 냐-나(Sammā Ñāna, 궁극 지혜)와 삼마- 위뭇띠(궁극 해탈)에 도달하여 아라한과(Arahanthood)를 얻는 데 필요한 모든 것입니다. 10가지 요소를 모두 충족시키면 아라한과에 이릅니다(‘dasahangehi samannagatō’). 


12. 한번은 빅쿠니(bhikkhuni, 여성 출가자)가 아난다 존자에게 물었습니다. 

“..‘야-양, 반떼 아-난다, 사마-디 나 짜-비나또 나 짜빠나또 나 짜 사상카-라닉가야와-리따가또,  위뭇땃따- 티또, 티땃따 산뚜시또, 산뚜시땃따- 노 빠리땃사띠. 아양, 반떼 아-난다, 사마-디 낑팔로 웃또 바가왓따-’띠?(..‘yāyaṃ, bhante ānanda, samādhi na cābhinato na cāpanato na ca sasaṅ­khā­ra­nig­gay­ha­vārita­gato, vimuttattā ṭhito, ṭhitattā santusito, santusitattā no paritassati. Ayaṃ, bhante ānanda, samādhi kiṃphalo vutto bhagavatā’ti?)” 

번역: “아난다 존자님, 저에게는 안정적이고, 오염물이 없고, 만족되고, 즐겁고, 동요하지 않는 이 사마-디(samādhi)가 있습니다. 붓다께서는 이 사마-디를 뭐라고 칭하셨습니까?”


아난다 존자께서 대답하셨습니다.

“..’아양, 바기니, 사마-디 나 짜-비나또 나 짜-빠나또 나 짜 사상카-라닉가야와-리따가또, 위뭇땃따- 티또, 티땃따- 산뚜시또, 산뚜시땃따- 노 빠리땃사띠. 아양, 바기니, 사마-디 안냐-팔로 웃또 바가와따-’띠. 에왕산니-삐 코, 아-우소, 따다-야따낭 노 빠띠상웨데띠-”띠”(..‘yāyaṃ, bhagini,  samādhi na cābhinato na cāpanato na ca sasaṅ­khā­ra­nig­gay­ha­vārita­gato, vimuttattā ṭhito, ṭhitattā santusito, santusitattā no paritassati. Ayaṃ, bhagini, samādhi aññāphalo vutto bhagavatā’ti. Evaṃsaññīpi kho, āvuso, tadāyatanaṃ no paṭisaṃvedetī”ti.)”

번역: “네, 빅쿠니님, 안정적이고, 오염물이 없고, 만족되고, 즐겁고, 동요하지 않는 그런 사마-디가 있습니다. 붓다께서는 그것을 어떤 오염물도 없는 ‘아라한뜨 팔라 사마-디(Arahant phala samādhi)’라고 칭하셨습니다."


  • * 이것은 ‘아난다 숫따( ‘Ananda Sutta (Anguttara Nikaya 9.37)’)에 있습니다. 그 빅쿠니는 아라한이였지만, 자신이 아라한에 이르렀다는 것을 알지도 못했습니다!

{"google":["PT Serif","Noto Sans KR"],"custom":["Nanum Gothic","Nanum Barun Gothic"]}{"google":["PT Serif"],"custom":["Nanum Gothic","Noto Sans KR","Nanum Barun Gothic"]}
{"google":["Noto Sans KR"],"custom":["Nanum Goth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