퓨어 담마(Pure Dhamma)
붓다의 참된 가르침을 회복하기 위한 탐구
윈냐-나와 그 진정한 의미
원문 : Living Dhamma 섹션(Key Dhamma Concepts 섹션으로 이동되었음)의 ‘Viññāna – What It Really Means’ 포스트(Key Dhamma Concepts 섹션으로 이동)
윈냐-나(Viññāṇa)는 아는 것(즉, 의식) 그 이상입니다. 위빠-까 윈냐-나(vipāka viññāṇa) 조차도 왜곡된 산냐-에 대한 들러붙음(집착)으로 일어납니다. 초기 위빠-까 윈냐-나의 집착이 강하면, 그것은 깜마 윈냐-나(kamma viññāṇa)로 성장하여 새롭고 강력한 업 에너지를 생성합니다. 사띠빳타-나 바-와나-(Satipaṭṭhāna Bhāvanā)를 육성하기 위해서는 이 두 단계의 집착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2017년 5월 26일; 2025년 4월 26 재작성
영문 도표 다운로드/인쇄: ‘Expansion of Viññāṇa’
윈냐-나는 감각 입력과 함께 일어난다
1. 깊은 잠에 빠져 있을 때, 우리의 마음은 ‘바왕가(bhavaṅga) 상태’라고 불리는 ‘멈춤(대기) 상태’에 있습니다. 마음[마음자리]은 거기에 있지만 활동하지 않기 때문에 우리는 어떤 감각 입력도 인지하지 못합니다.
-
* 어떤 사람이 알람 소리에 잠에서 깬다고 가정해 보세요. 그것이 바로 ‘소따 윈냐-나(sota viññāṇa)’의 시작입니다. 그것은 단지 마음을 ‘멈춘(대기) 상태’에서 깨우는 소리일 뿐입니다. 그것은 그저 소리로 들어오지만, 그 소리에 기초하여 그는 즉시 오늘 예정된 중요한 일들을 생각하기 시작하고, 그다음 일할 준비를 합니다.
-
* 따라서, 마음은 하나의 감각 경험과 함께 시작됩니다. 하지만 그 경험에 대해 더 깊은 생각으로 빠르게 ‘확장’되어 다른 관련 영역으로 뻗어 나갑니다.
-
* 그것은 좁은 초기 경험(위빠-까 윈냐-나)이 확장되어 윈냐-낙칸다(viññāṇakkhandha)라고 불리는 무더기 또는 묶음이 되는 방식입니다.
-
* 그 ‘확장’ 중에, 초기 위빠-까 윈냐-나에 계속 들러붙어 ‘나와 깜마’ 단계에 들어가면, 마음은 업 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위 도표를 참조하세요.
-
* 우리가 매일 보는 모든 것이 ‘나와 깜마’ 단계로 이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더욱이 ‘뿌라-나 깜마’ 단계에서는 강한 업 에너지가 생성되지 않더라도, 마음은 ‘뿌라-나 깜’ 단계에 들어서는 순간 자동적으로 오염됩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논의하겠습니다.
2. 새로운 감각 입력이 들어올 때, 마음은 그것의 ‘스냅샷(snapshot)’으로 ‘새로운 윈냐-나’를 시작합니다.
-
* 십대 X가 아름다운 여성을 본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그것은 ‘새로운 윈냐-나’일 것입니다. 그것은 여성의 형상에 대한 스냅샷을 마음에 떠올리는 것과 함께 시작됩니다. 위 도표는 수반되는 중요한 단계를 보여줍니다.
-
* 그 과정은 까-마 로까(kāma loka, 욕계)에 태어난 모든 이에게는 ‘까마 다-뚜(kāma dhātu)’ 단계에서 시작됩니다. 아라한과 보통사람(뿌툿자나) 사이의 차이는 다음과 같은데, 뿌툿자나의 마음은 자동적으로 ‘바힛다 윈냐-나(bahiddha viññāṇa)’에 이르는 반면에, 아라한의 마음은 ‘까-마 다-뚜’ 단계에 유지된다는 것입니다.
-
* 바힛다 윈냐-나로 ‘까-마 로까(kāma loka)’에 들어가면, 뿌툿자나의 마음은 적어도 ‘앗잣따 윈냐-나(ajjhatta viññāṇa)’ 단계에 들러붙음을 계속합니다. 감각 입력이 강하면(즉, 땅하-가 강하면), 점진적인 들러붙음(집착)은 ‘나와 깜마’ 단계까지 이어집니다. 빠띳짜 사뭅빠-다(Paṭicca Samuppāda)에서, 이 전환은 ‘땅하- 빳짜야- 우빠-다-나(taṇhā paccayā upādāna)’ 단계에서 일어납니다.
-
* ‘감각 입력은 (왜곡된) 산냐-와 빤쭈빠-다-낙칸다를 촉발시킨다’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윈냐-나는 도덕적 또는 부도덕적일 수 있다
3. 마음은 감각 입력을 통해 경험하는 ‘즐거움’을 확장할 방법을 끊임없이 찾기 때문에 성장한다고 하는 윈냐-나(viññāṇa)에 계속 집착합니다. 예를 들어, 아름다운 여성을 보는 것을 즐기는 젊은이(X)의 경우입니다.
-
* ‘나와 깜마(nava kamma)’ 단계까지는 ‘윈냐-나(viññāṇa)의 성장’이 비교적 적습니다. 이는 위 도표에서 윈냐-나 성장의 작은 기울기에서 알 수 있습니다.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것은 ‘부도덕한 윈냐-나’(X의 경우 ‘까-마 라가’가 있는 윈냐-나)를 나타내며, 이는 부도덕한 생각, 말, 행동(도표에서 까-야, 와찌, 마노 깜마)로 이어질 수 있을 것입니다.
-
* 감각 입력(예를 들어 불상을 보는 것)이 선한 도덕적 생각(그리고 아마도 도덕적 행위)로 이어진다면, ‘도덕적 윈냐-나’가 생기고, 두 개의 위쪽 방향 선(위 도표에서는 표시되어 있지 않음)이 이를 나타냅니다. ‘닙바-나로 가는 길 ㅡ 담마를 배워 소따빤나가 됨’ 포스트의 두 번째 도표에서는 두 가지 유형이 도시되어 있습니다. 그런 도덕적 윈냐-나조차도 마음을 닙바-나에서 멀어지게 합니다. 왜곡된 산냐에 집착하여 시작되는 모든 윈냐-나는 마음을 닙바-나에서 멀어지게 합니다. ‘6가지 근본원인 - 로까 사무다야(괴로움의 발생)와 로까 니로다야(열반)’을 참조하세요.
-
* 닙바-나를 향하여 가려면, 왜곡된 산냐-를 극복해야 합니다. 그것을 아래에서 간단히 다루겠습니다. ‘세 단계 실천’ 섹션의 ‘인식(산냐-) 이해를 통한 소따빤나 단계(Sotapanna Stage via Understanding Perception (Saññā))’ 서브섹션에서 자세히 논의되었고 ‘담마와 과학’ 섹션의 ‘붓다의 세계관(Worldview of the Buddha)’ 서브섹션에서 훨씬 더 자세히 논의됩니다. 이 포스트들을 검토하려면 하루나 이틀 정도 시간을 내야 합니다. 점심을 먹으면서 포스트를 한두개 읽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아라한은 윈냐-나를 생성하지 않는다
4. 위 도표에서 볼 수 있듯이, 아라한의 마음은 까-마 로까(kāma loka)의 바힛다 윈냐-나(bahiddha viññāṇa)로 이동하지 않습니다. 아라한들의 마음은 위 도표에서 볼 수 있듯이 ‘까마 다-뚜(kāma dhātu)’ 상태에 머무릅니다.
-
* 아라한은 어떤 순간에도 윈냐-나(viññāṇa)를 생성하지 않습니다. ‘윈냐-나’라는 낱말은 ‘냐-나(ñāṇa)가 없음’ 또는 ‘세상의 참된 본질에 대한 지혜가 없음’을 의미합니다. 구체적으로, 이는 ‘왜곡된 산냐(distorted saññā)’가 어떻게 깜마의 축적을 유발하는지에 대한 앎이 없음을 의미합니다. 일단 그것을 이해하면, 산딧티꼬(sandiṭṭhiko), 즉 소따빤나(Sotapanna)가 됩니다. 그러나, ‘산(san)의 생성’은 아라한 단계에서만 완전히 멈춥니다. ‘산딧티꼬 ㅡ 그 의미는 무엇인가?’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
* 아라한이 윈냐-나를 생성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감각 입력을 경험할 수 있을까요? 아라한이 보는 것(또는 안식)은 ‘딧테 딧타맛땅 바윗사띠(diṭṭhe diṭṭhamattaṁ bhavissati)’, 즉 ‘(비록 그 보는 것에 왜곡된 산냐-가 내재되어 있더라도) 어떤 오염도 생기지 않고 보는 것’으로 표현됩니다. 예를 들어, 아라한은 (위 #2, #3의 X처럼) 아름다운 여성을 아름다운 여성으로 볼 것입니다. 그러나 아라한은 ‘여성의 아름다움’이 마음에 의해 생성된 거짓되고 왜곡된 산냐-임을 완전히 이해했기 때문에, 그들의 마음은 그 보는 것에 집착하지 않을 것입니다.
-
* 이것이 붓다께서 바-히야(Bāhiya)에게 아라한처럼 되기 위해 수행하라고 권고하신 이유인데, “diṭṭhe diṭṭhamattaṁ bhavissati, sute sutamattaṁ bhavissati, mute mutamattaṁ bhavissati, viññāte viññātamattaṁ bhavissatī’ti.”입니다. 불가사의하게, 지혜로운 바-히야는 몇 분 만에 이 말씀을 깨달았습니다. 그것은 우연이나 요행이 아니었습니다. 그는 전생에 지혜를 육성(바라미따를 성취)했습니다. 다음 주의 포스트에서는 ‘Bāhiya Sutta (Ud 1.10)’를 논의하겠습니다.
두 가지 유형의 윈냐-나는 ‘왜곡된 산냐-’로 인해 일어난다
5. 숫따에서는 두 가지 유형의 윈냐-나(위빠-까 및 깜마 윈냐-나)를 따로 분류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윈냐-나가 위빠-까 윈냐-나에서 깜마 윈냐-나 단계(마음이 빠띳짜 사뭅빠-다의 ‘땅하- 빳짜야- 우빠-다-나’ 단계에 도달할 만큼 아람마나에 강하게 집착할 때만 발생)로 어떻게 진전하는지 살펴봄으로써 마음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많은 숫따에서 위빠-까 윈냐-나(vipāka viññāṇa)와 깜마 윈냐-나(kamma viññāṇa)에 상응하는 ‘뿌라-나 깜마(purāna kamma)’와 ‘나와 깜마(nava kamma)’ 단계를 논의합니다.
-
* ‘불교에서 자유의지 ㅡ 상카-라와 관계’ 포스트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우리는 (뿌라-나 깜마 단계의) 위빠-까 윈냐-나를 통제할 수는 없지만, 나와 깜마 단계에서 깜마 윈냐-나로 강력한 깜마를 축적하는 것을 통제할 수 있습니다.
-
* ‘짝쿠 윈냐-나에는 오염이 없는가?’ 포스트에서, 왜 위빠-까 윈냐-나조차도 오염되는지 논의했습니다. 끊어지지 않은 상요자나-(saṁyojanā)가 있다면, 우리가 알아차리기도 전에 우리의 마음은 ‘왜곡된 산냐-’에 집착하게 됩니다. 산딧티꼬(sandiṭṭhiko)가 되려면 그것을 이해해야 합니다. ‘산딧티꼬 ㅡ 그 의미는 무엇인가?’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
* 이것이 바로 아라한들이 위빠-까 윈냐-나(vipāka viññāṇa)조차 경험하지 못하는 이유입니다! 그들도 의식적이고 뿌툿자나처럼 감각 입력을 경험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마음은 ‘왜곡된 산냐-’에 집착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자신을 윤회 과정에 묶는 열 가지 상요자나-(saṁyojanā)를 모두 끊었기 때문입니다.
-
* 만약 10가지 상요자나 중의 하나 이상이 그대로 남아 있으면, 마음은 의식적 생각 없이 자동적으로 그 ‘왜곡된 산냐-’에 집착하게 됩니다. ‘산냐-와 그 진정한 의미’ 포스트의 #9와 ‘감각 입력은 (왜곡된) 산냐-와 빤쭈빠-다-낙칸다를 촉발시킨다’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윈냐-나가 11가지 유형으로 성장/확장
6. 마음이 단 하나의 아람마나(예를 들어, 위의 #2에서 X가 아름다운 여성을 보는 것)로 시작하더라도, 감각 입력이 충분히 매력적이라면 마음은 여러 방향으로 ‘달려갑니다’.
-
* X의 예에서, 그의 마음은 먼저 이전에 경험했던 비슷한 광경을 떠올릴 것입니다. 만약 그 여성을 알고 있다면, 그는 무의식적으로 그 여성과의 과거 경험을 떠올릴 것입니다. 따라서 윈냐-나는 ‘과거 경험’을 포함하도록 확장됩니다. 만약 그 여성을 알아가고자 한다면, 윈냐-나는 그런 미래 계획들을 포함할 것입니다. 따라서 윈냐-나는 (‘뿌라-나 깜마’ 단계에서도) 즉시 확장됩니다.
-
* 실제로, 윈냐-나는 11가지 유형을 포함하는데, “yaṁ kiñci viññāṇaṁ atītānāgatapaccuppannaṁ ajjhattaṁ vā bahiddhā vā, oḷārikaṁ vā sukhumaṁ vā hīnaṁ vā paṇītaṁ vā yaṁ dūre santike vā,..”입니다. ‘Adukkhamasukhī Sutta (SN 24.96)’를 참조하세요. 영어 번역에는 많은 오류가 있는데, 그 중에서도 윈냐-나(viññāṇa)를 ‘consciousness(의식)’으로 번역한 부분이 대표적 오류입니다.
-
* 위 구절에서, ‘atītānāgatapaccuppannaṁ’는 성장하는 윈냐-나의 과거(atīta), 미래(anāgata), 현재(paccuppanna) 구성요소를 가리킵니다.
-
* 위에서 논의한 앗잣따 윈냐-나(ajjhatta viññāṇa)와 바힛다 윈냐-나(bahiddha viññāṇa)는 위 구절(ajjhattaṁ vā bahiddhā vā)의 윈냐-나(viññāṇa)의 두 가지 구성요소입니다. 우리는 ‘윈냐-낙칸다(viññāṇakkhandha)’에 포함된 11가지 유형을 모두 논의할 것입니다. 윈냐-낙칸다는 위 숫따를 포함하여 많은 숫따에서 단순히 ‘윈냐-나(viññāṇa)’로 언급되어 있습니다.
-
* 이것이 윈냐-나(viññāṇa)가 단순한 ‘의식(consciousness)’보다 훨씬 더 복잡한 이유입니다.
윈냐-나의 성장은 ‘나와 깜마’ 단계에서 가속화된다
7. 마음이 감각 사건(위의 X 예처럼)에 강하게 집착하면, 우리는 그것에 대해 생각하고 말하고 행동하는 것을 의식하게 됩니다. X의 예에서, 그는 여성과 관계를 맺는 방법을 의식적으로 계획하기 시작합니다. 바로 그 때가 위 도표에서 볼 수 있듯이 ‘나와 깜마(nava kamma)’ 단계가 시작되는 순간입니다.
-
* ‘나와 깜마’ 단계로 전환은 ‘뿌라-나 깜마’ 단계에서 까-막찬다(kāmacchanda, kāma chanda, ‘까-마를 열망’)가 일어나는 것으로 시작됩니다.
-
* 다음 단계인 ‘까-마 빠릴라-하(kāma pariḷāha)’는 마음이 동요되어 즉시 ‘행위’를 요구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행해야 한다는 긴박감이 생깁니다.
-
* 그 다음, 조사(빠리예사나, pariyesana) 단계를 시작할 것입니다. X의 경우, 그는 다른 사람들에게 그 여성이 누구인지 묻기 시작하고 가능한 빨리 그녀를 다시 만날 계획을 세울 것입니다.
-
* ‘나와 깜마’ 단계에서 ‘(기대를 포함하는) 윈냐-나를 확장하는’ 모든 것들은 도표에서 윈냐-나 성장에서 더 큰 기울기로 나타납니다. 이는 말과 신체 행동을 포함하여 더 많은 생각(계획)으로 정점에 도달합니다. 그것은 도표에서 까-야(kāya), 와찌(vaci), 그리고 마노 깜마(mano kamma)가 가리킵니다.
-
* 따라서, (단지 ‘보는 사건’으로 시작된) 초기 윈냐-나는 윈냐-낙칸다(viññāṇakkhandha), 즉 ‘윈냐-나의 더미’로 확장됩니다.
윈냐-나를 멈추려면 왜곡된 산냐-를 뛰어넘어야 한다
8. 위의 논의에서 알 수 있듯이, (바힛다) 윈냐-나로의 ‘자동적 전환’을 피하려면 왜곡된 산냐-를 뛰어넘어야 합니다.
-
* 소따빤나는 세상의 아닛짜 특성을 숙고하는 중에 ‘왜곡된 산냐-’를 ㅡ [자신의] 역사상 처음으로 ㅡ 극복합니다.
-
* ‘왜곡된 산냐-’의 기원을 이해하기 시작하면(즉 부처님의 세계관을 이해하기 시작하면), 그 사람의 마음은 점차적으로 ‘왜곡된 산냐-’에서 해방되기 시작합니다.
-
* 소따빤나 아누가미(Sotapanna Anugami)가 되면, 그 사람의 마음은 ‘왜곡된 산냐-’를 극복하고 ‘사띠빳타-나 부미(Satipaṭṭhāna Bhumi)’로 나아가려고 노력하기 시작합니다. 이는 아래 도표에 나타나 있습니다.
영문 도표 다운로드/인쇄: ‘Satipaṭṭhāna – Basic Idea’
‘왜곡된 산냐-’가 없는 삼마- 사띠의 첫 경험(사띠빳타-나 부미)
9. 뿌툿자나(puthujjana)는 소따빤나(Sotapanna) 단계에 도달했을 때 처음으로 (사띠빳타-나 부미의) ‘왜곡된 산냐-가 없는’ 삼마- 사띠(Sammā Sati)를 경험합니다. 소따빤나 팔라(Sotapanna phala) 순간에, 마음은 까-마 로까와 관련된 ‘왜곡된 산냐-’(또는 자-나에 있다면 루빠 로까와 관련된 왜곡된 산냐-)를 극복하고 사띠빳타-나 부미(Satipaṭṭhāna Bhumi)로 이동합니다.
-
* 소따빤나는 사띠빳타-나(Satipaṭṭhāna)를 육성함으로써 사띠빳타-나 부미에 ‘돌아갈’ 수 있습니다.
-
* 소따빤나가 사띠빳타-나를 육성하기 시작하면, 큰 노력없이 사띠빳타-나 부미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하지만 쉬운 일은 아닙니다). 수행을 통해, 그곳에 도달하고 그곳에 머물면 더 높은 도과를 성취할 수 있습니다.
-
* 더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로까와 닙바-나(알로까) ㅡ 완전한 개관’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
* ‘감각 입력으로 '세상의 일어남', 즉 '로까 사무다야'가 시작된다’, ‘감각 입력은 (왜곡된) 산냐-와 빤쭈빠-다-낙칸다를 촉발시킨다’ 및 ‘까-마 산냐- ㅡ 뛰어넘어 사띠빳타-나를 육성하는 방법’를 포함하여, 여러 포스트에서 이 매우 중요한 단계를 논의했습니다. 숙고할 시간이 충분할 때 이 포스트들을 읽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