퓨어 담마(Pure Dhamma)

붓다의 진정한 가르침을 회복하기 위한 탐구


{"google":["PT Serif","Noto Sans KR"],"custom":["Nanum Gothic","Nanum Barun Gothic"]}

 

‘땅하-’와 ‘우빠-다-나’ 사이의 차이

 

원문: Key Dhamma Concepts 섹션의 ‘Difference Between Taṇhā and Upādāna’ 포스트

 

땅하-(tanhā)는 나쁜 가띠(gati)로 인해 자동적으로 일어납니다. 우리는 들러붙음을 알게 될 때 우빠-다-나(upādāna)를 통제할 수 있습니다. 

 

- 2018년 10월 25일; 2019년 11월 4일 개정; 2019년 12월 5일 개정; 2021년 3월 30일 개정; 2022년 9월 8일 개정

 

소개

 

1. 땅하-(tanhā)와 우빠-다-나(upādāna)의 차이는 미묘하고, 그 차이를 이해하는 것은 결정적입니다. 그것은 어떻게 나쁜 가띠(gati)를 제거하고 좋은 가띠(gati)를 기를 수 있는지 이해하는 열쇠입니다. 그것은 닙바-나(Nibbāna)로 가는 길입니다.

 

  • * 그 이해는 또한 사띠빳타-나_Satipatthāna(그리고 아나빠-나_Anapāna) 바-와나(bhāvanā) 배후의 기본 아이디어를 이해하는 데 결정적으로 중요합니다.

 

2. 사띠빳타-나_Satipatthāna(그리고 아나빠-나_Anapāna) 바-와나(bhāvanā)는 마음에 떠오르는 새로운 나쁜 생각을 잡는 것에 관한 것입니다. 그런 생각은 즉시 멈춰야 합니다. 생각이 좋은 것이라면(담마 개념을 말하는 것 등), 그것을 유지해야 합니다.

 

  • * 생각(thought)이라는 말은 (그 의미가) 너무 단순화되었습니다. 생각(thought)은 웨-다나-(védanā, 느낌), 산냐(sañña, 지각), 상카-라(sankhāra, 행) 및 윈냐-나(viññāna, 의식)를 포함하며, 각 요소는 복잡합니다. 이에 대해서는 ‘리빙 담마’ 섹션의 ‘정신 무더기(Mental Aggregates)’ 서브 섹션과 ‘윈냐-나와 그 진정한 의미’ 포스트를 보세요.

  • * 상카-라(sankhāra)는 미래 위빠-까(vipāka, 과보)를 위한 업력(kammic energy)이 3가지 유형의 상카-라(sankhāra), 즉 마노- 상카-라(manō sankhāra, 의행), 와찌 상카-라(vaci sankhāra, 구행) 및 까-야 상카-라(kāya sankhāra, 신행)에 의해 생성되기 때문에 특히 매우 중요합니다. 상카-라에 대해서는 ‘상카-라와 그 진정한 의미’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 * 그래서, 여기서는 이 빠알리 용어들을 그냥 쓰기로 하겠습니다.

 

‘마노- 상카-라’는 ‘가띠’ 때문에 자동으로 일어난다

 

3. 시각 대상이나 소리 등에 관심이 끌리면, 마노- 상카-라(Manō sankhāra)는 감각 입력 때문에 자신의 가띠(gati)를 기반으로 마음에 자동적으로 일어납니다.

 

  • * 우리는 그 초기의 마노- 상카-라(manō sankhāra)를 경험(인식)하지 못하며, 와찌 상카-라(vaci sankhāra, 자기 자신에게 말하기)라는 다음 단계에 이르렀을 때 [상카-라(sankhāra)를] 경험(인식)하기만 합니다.

  • * 이것은 중요한 점입니다. 한마디도 (소리로) 말하지 않더라도, 그 대상에 대해 속으로 생각하고 있다면 그것은 와찌 상카-라(vaci sankhāra)입니다. 더 관심이 있으면 [입으로] 말을 하게 되는데, [입으로 말하는] 그것도 와찌 상카-라(vaci sankhāra)입니다. 이에 대해서는 ‘ ‘와찌- 상카-라’의 바른 의미’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이 두 가지 유형의 ‘와찌- 상카-라’는 위딱까(vitakka)와 위짜-라(vicāra) 쩨따시까를 포함합니다.

  • * 관심이 높아지면 몸의 행동까지 취할 수 있습니다. 그 몸의 행동은 까-야 상카-라(kāya sankhāra)에 의해 시작됩니다.

  • * 세 가지 유형의 상카-라(sankhāra)는 모두 마음에 일어납니다.

  • * 생성된 업력(kammic energy)의 강도는 마노-(manō), 와찌(vaci), 까-야 상카-라(kāya sankhāra)의 순으로 증가합니다.

 

4. 각자의 가띠(gati)를 기반으로  자동적으로 무언가에 들러붙습니다. 그러면 마노- 상카-라(manō sankhāra)가 가띠(gati)에 따라 자동적으로 일어납니다. 땅하-(tanhā)가 있는 한, 이 마노- 상카라(manō sankhāra)는 일어나며, 자동적으로 끌리게 됩니다. 이때, 땅하-(tanhā)는 까-마 라-가(kāma rāga)나 빠띠가(patigha)의 가띠를 통해 일어나며, 이 두 경우 모두 아윗자-(avijjā)가 있습니다. ‘땅하-, 탐함과 성냄과 미혹함을 통해 어떻게 들러붙는가?’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 * 그 포스트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땅하-(tanhā)라는 용어는 들러붙는 것을 의미합니다(‘장소, 자리, 처지’를 뜻하는 타나_thána + ‘용접되거나 붙게되는 것’을 뜻하는 하-_hā, 싱할라어로는 හා වීම).

  • * 이 초기의 들러붙음은 가띠(gati)를 기반으로 자동적으로 일어납니다.  우리는 그것을 직접 통제할 수는 없습니다.

  • * 그런 마노- 상카-라(manō sankhāra)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려면, 오랜 기간에 걸쳐 서서히 우리의 가띠(gati)를 변화시킬 필요가 있습니다.

 

와찌 상카-라의 중요성

 

5. 들러붙음이 충분히 강하면, 마음이 이제 의식적으로 생각하기 시작합니다. 즉, 와찌 상카-라(vaci sankhāra)가 발생하고 우리는 이 와찌 상카-라(vaci sankhāra)를 알게 됩니다.

 

  • * 뭔가에 대한 이 ‘들러붙음’을 인식하자마자, 우리는 주의깊게(마음챙김하게) 될 수 있고, 그 들러붙음의 결과에 대해 생각하고 그것으로부터 멀어집니다. 그래서 와찌 상카-라(vaci sankhāra) 단계에서 그러한 생각을 멈출 수 있습니다. ‘ ‘와찌- 상카-라’의 바른 의미 ’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 * 그러나 우리 마음은 그런 와찌 상카-라(vaci sankhāra)를 즐기고 싶어 합니다. 와찌 상카-라는 하기 쉽고 매우 유혹적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과거의 일이나 미래에 일어날 수 있는 성적 접촉에 관해 몽상(백일몽)을 하는 것에서 성적 만족감을 얻습니다.

 

6. 나 산띠 숫따(Na Santi Sutta (SN 1.34))에서, 붓다께서는 까-마(kāma, 감각 욕망)를 이 몽상(백일몽) 또는 ‘그것에 대해 계속 많이 생각하는 것’으로 정의하셨습니다. 즉, ‘나 떼 까-마- 야-니 찌뜨라-니 로께, 상깝빠라-고 뿌리삿사 까-모..(Na te kāmā yāni citrāni loke, Saṅkapparāgo purisassa kāmo..)’라고 하셨습니다.

 

번역: ‘세상의 아름다운 것들이 까-마(kāma)가 아니라, 그 아름다운 것에 대해 생각함으로써(라-가 상깝빠_rāga sankappa) 자신의 까-마(kāma)를 창조한다..’

 

  • * 이것은 대단히 중요한 점입니다.

  • * 더구나, 우리는 섹스뿐만 아니라 다른 감각적 즐거움에 대해서도 몽상(백일몽)합니다. 이에 대해서는 ‘까-마란 무엇인가? 그것은 섹스만이 아니다’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 * 몸으로 아무것도 하지 않더라도 그러한 (몽상하는) 와찌 상카-라(vaci sankhāra)를 단순히 생성하는 것으로 나쁜 깜마를 많이 축적할 수 있습니다.

  • * 세상에는 마음을 끄는 것들, 맛있는 음식, 좋은 냄새 등으로 가득차 있지만, 그것들을 보고, 맛보고, 냄새 맡는 것이 반드시 까-마(kāma)인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붓다께서는 아주 맛있는 음식을 받아들여 드셨지만, 결코 그것들에 대해 마노/와찌 상카-라(manō/vaci sankhāra)를 생성하지 않으셨습니다. 붓다께서는 모든 가띠(gati)를 제거하셨습니다.

 

‘와찌 상카-라’는 ‘우빠-다-나’의 원인이다

 

7. 아나-가-미(Anāgāmi) 단계에 아직 도달하지 않은 사람은 누구나 자동으로 그러한 마노- 상카-라(manō sankhāra)를 생성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것을 생성하면, 어떤 수준의 ‘와찌 상카-라(vaci sankhāra)’, 즉 ‘까-마 상깝빠(kāma sankappa)의 생성으로 이어집니다.

 

  • * 우리가 ‘(욕망의) 흐름에 따라’ 생활하고 이 ‘몽상’을 즐기며 와찌 상카-라(vaci sankhāra)를 생성한다면, 그것이 바로 ‘우빠-다-나(upādāna)’라고 하는 것입니다.

  • * 우빠-다-나(upādāna)는 ‘마음에 가깝게 끌어당기는 것’입니다. 우빠-다-나(upādāna)는 ‘upa’ + ‘ādāna’로 합성된 낱말이며, 여기서, 우빠(upa)는 ‘가깝게(밀접하게)’를 의미하고 ‘아-다-나(ādāna)는 ’끌어당김’을 의미합니다.

 

8. 그러므로, 우리는 땅하-(tanhā), 즉 ‘초기 들러붙음’ 단계를 통제(제어)할 수 없습니다. 그것은 각자의 가띠(gati)로 인해 자동적으로 일어나는 마노- 상카-라(manō sankhāra)의 발생으로 이어집니다.

 

  • * 그리고 그 가띠(gati)은 그러한 감각 경험을 단지 삼감(절제함)에 따라 제거될 수는 없습니다.

  • * 먼저, 그 종류의 감각 입력에 들러붙는 가띠(gati)를 줄여야 합니다. 그것을 알게 되자마자 와찌 상카-라(vaci sankhāra)를 멈추는 것이 나쁜 가띠를 줄이는 길입니다. 와찌 상카-라(vaci sankhāra)는 그 가띠(gati)가 자라기 위한 진짜 ‘영양분’, 즉 ‘음식/물’입니다.

  • * 우리가 계속 ‘와찌 상카-라(vaci sankhāra)를 생성하는 나쁜 습관을 유지한다면, 그 가띠(gati)는 시간이 지날수록 강하게 되기만 할 것입니다. 그 ‘나쁜 가띠(gati)’를 자라게 하는 그런 ‘정신적 음식’을 공급하는 것을 멈추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와찌 상카-라를 멈춤으로써 나쁜 습관을 없앰

 

9. 붓다께서 그것을 설명하시기를, ‘음식과 물이 없이는 7일 이상 살 수 없으며, 죽을 것이다.’라고 하셨습니다.

 

  • * 그러나 고형의 음식을 먹지 않고 물만 섭취하면, 몇 주 동안 살 수 있습니다.

  • * 하지만, 그 사람은 음식을 조금 먹는 것에 유혹당할 수 있습니다. 그것은 [단식] 과정을 그치게 하고, 일상 과정은 다시 시작됩니다.

 

10. 그것은 습관을 없애기 위한 비유입니다. 다음과 같이 행하면 비교적 빨리 습관(또는 중독)을 없앨 수 있습니다. 즉, 까-야 상카-라(kāya sankhāra) (고형의 음식과 같은, 실제 행위)와 와찌 상카-라(vaci sankhāra) (물과 같은, 실제 행위에 대한 생각과 말)을 모두 중단하는 것입니다.  

 

  • * 그러나 우리가 행동(까-야 상카-라, kāya sankhāra)만을 멈추고 여전히 와찌 상카-라(vaci sankhāra)를 계속 생성한다면, 그 습관은 결코 완전히 제거되지는 않을 것입니다.

  • * 그래서, [와찌 상카-라를 물에 비유하는] 비유가 적절한 것은 아닙니다. 와찌 상카-라(vaci sankhāra)는 까-야 상카-라(kāya sankhāra) 만큼이나 나쁩니다. 즉, 와찌 상카-라(vaci sankhāra)는 (그 비유에서 단순한 ‘물’이 아니라) ‘간식’과 같습니다.

  • * 그 규율을 깨뜨리는 횟수가 많을수록 습관(가띠)를 없애는 데 더 오래 걸릴 것입니다. 그 때문에 항상 우리 생각, 말, 행동에 주의깊어야(마음챙김해야) 합니다. 그것이 아나빠-나(Anapāna)와 사띠빳타-나(Satipatthāna) 바-와나-(bhāvanā)의 핵심입니다.

 

11. 예를 들어, 마약을 섭취하는 행위를 중단하고 그에 대해 생각하는 것을 멈추는 노력(훈련)을 한다면, 짧은 시간(약 한 달) 내에 마약 중독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 * 그러나, 마약을 섭취하는 행위를 하지 않지만 그것에 대해 생각하면서 즐기는 것(와삐 상카-라)을 계속한다면, 중독에서 벗어날 수 없습니다. 몇 달 동안 마약을 섭취하지 않고 지낼 수는 있지만, 어느날 그 결단을 깨뜨리고 마약을 다시 섭취하게 될 수 있습니다.

  • * 이러한 일은 음주, 흡연 및 과식 등 다양한 것에 중독된 사람들에게 일어납니다. 그 사람들은 그 행위들을 일시적으로 멈출 수는 있습니다. 그러나 몇 달 후 그 맹세를 깨뜨립니다. 그것은 그 행위에 대한 와찌 상카-라(vaci sankhāra)를 생성하는 것, 또는 우빠-다나(upādāna, 밀접하게 끌어당기는 것)를 멈추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빠띳짜 사뭅빠-다는 감각 입력으로 시작된다 

 

12. 대부분의 빠띳짜 사뭅빠-다(Paṭicca Samuppāda) 과정은 자신의 마음이 아-람마나(ārammaṇa)에 들러붙게 하는 감각 입력으로 시작됩니다. 다음 도표는 관련된 과정을 설명합니다.

 

 

인쇄용 pdf 파일(영문)은 ‘Tanha and Upadana’ 에 있습니다.

 

  • * 볼 수 있듯이, 핵심은 와찌 상카-라(vaci sankhāra)의 생성을 멈추는 것입니다. 나쁜 생각을 알게 되자마자 그것들을 멈추어야 합니다. 그러면 시간이 지나면서 그 나쁜 가띠(gati)는 강도가 줄어지고 결국 사라질 것입니다

  • * 그러므로 빤냐-(paññā, 지혜, 아윗자-_avijjā의 반대인 윗자-_vijjā라고도 함)로 마음 챙기며 행함으로써, 우빠-다-나(upādāna)를 줄이고 점차 나쁜 가띠(gati)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 * 와찌 상카-라(vaci sankhāra)는 나쁜 가띠(gati)에 기여하는 것에 더하여, 쭈띠-빠띠산디(cuti-patisandhi, 죽음-재생연결)의 순간에 새로운 ‘나쁜 바와(bhava)’를 붙잡게 합니다.

 

‘사띠빳타-나’와 ‘아나빠-나’ 바-와나의 기본

 

13. 그것은 사띠빳타-나_Satipatthāna(그리고 아나빠-나_Anapāna) 바-와나(bhāvanā)의 기본입니다. ‘아-나-빠-나는 무엇인가?’ 포스트 및 ‘숫따(경) 해석’ 섹션의 ‘마하 사띠빳타나 숫따(Maha Satipaṭṭhāna Sutta)’ 서브섹션을 참조하세요.

 

  • * 주의 깊게 마음챙김한다면, 와찌 상카-라(vaci sankhāra) 단계에서 ‘나쁜 생각’을 즉시 알게 될 것입니다. 그에 따라, 우빠-다-나(upādāna) 단계를 멈출 수 있습니다. 즉, ‘더 가까이 끌어당기지 않기’로 결정할 수 있습니다.

  • * 예를 들어, 매력적인(예쁜) 사람을 본다면, 자동적으로 그 사람을 바라보기 시작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단 그것(갈애)을 인식하게 되면, 눈길을 돌리고 다른 것을 생각하기 시작할 수 있습니다.

  • * 또 다른 심한 예를 들자면, 누군가에 화가 나게 될 수 있고 거친말을 하기 시작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나쁜 옛 습관’으로 돌아가는 것을 깨닫자마자 중간에서 멈출 수도 있습니다. 뭔가 나쁘게 말을 한 후에도 잘못을 깨닫는다면, 거친 말을 한 것에 대해 사과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것은 초기에는 어려울 수 있지만, 그것이 그런 나쁜 습관을 제거하는 유일한 길입니다.

 

14. [바와에 이르는] 결정적인 우빠-다-나 단계를 통제하기 시작할 때, 자신의 가띠(gati)는 천천히 바뀔 것입니다. 그러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땅하-(tanhā, 갈애)의 첫 단계가 줄어들고 마침내 사라질 것입니다.

 

  • * 그것이 아나빠-나(Anapāna) 명상과 사띠빳타나(Satipatthana) 명상의 기본(기초)입니다.

 

땅하-에서 우빠-다-나로 나쁜 가띠로

 

15. 전에 언급한 바와 같이, 테이블 위에 놓여 있는 독약 병은 우리를 해치지 않습니다. 그것을 잡아 [독약을] 마시는 경우에만 그 사람을 죽일 수 있습니다.

 

  • * 그것(잡아 마시는 것)은 우빠-다-나(upādāna)로 행하는 것과 같습니다. 이 세상 외부에는 즐겁게 하는 것이 많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아닛짜(anicca) 특성(그것들은 결국에는 고통 또는 괴로움으로 이어지게 할 뿐이라는 것)을 이해한다면, 우리 마음은 그것들을 갈망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것은 우빠-다-나(upādāna)를 멈추게 할 것입니다.

  • * 예를 들면, 우리는 불빛에 끌려간 파리들이 타 죽는다는 것을 우리는 압니다. 그러나 그 파리들은 그 빛나는 불빛이 매력적으로 보인다하더라도 그것이 자신들을 죽일 수 있다는 것을 모릅니다. 같은 식으로 물고기는 미끼만 보고 낚시 바늘을 보지 못합니다.

  • * 우리는 벌겋게 달아오른 뜨거운 스토브(난로)에 닿지 않습니다. 그것이 우리에게 화상을 입힐 것임을 알기 때문입니다.

  • * 그러나 우리 대부분은 감각적 즐거움이 [결국] 고통(괴로움)에만 이르게 된다는 것을 깨닫지 못합니다. 물론, 극단적인 감각적 즐거움에 우선 빠지지 않게 할 필요가 있습니다. 필자가 항상 말하듯이 그것은 ‘단계적 과정’으로 제거됩니다. ‘불자는 감각적 욕망을 제거하는 것이 필수적인가?’ 포스트를 참조하세요.

 

16. 점차적으로 우빠-다-나(upādāna)를 통제하는 것은 나쁜 가띠(gati)를 줄이고, 좋은 가띠를 기르며, 결국 땅하-(tanhā)를 제거하는 길(방법)입니다.

 

  • * 땅하-(tanhā)를 제거하는 것은 아누사야(anusaya)[즉, 감각접촉에 따라 표면으로 떠오르는 번뇌]를 제거하는 것과 같습니다.

  • * 이것을 더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 우리는 담마를 배우고 띨락카나(Tilakkhana, 삼법인), 즉 아닛짜(anicca), 둑카(dukkha), 아낫따(anatta) 특성을 이해함으로써, 아윗자-(avijjā)를 또한 줄여야 합니다.  

 

와찌 상카-라를 통해 좋은 가띠를 육성함

 

17. 물론, 그것은 역으로도 작용합니다. 관련된 (좋은) 일들에 대해 끊임없이 생각함으로써 ‘좋은 가띠(gati)’를 기를 수 있습니다.

 

  • * 예를 들면, 담마(Dhamma) 개념이 마음에 떠오른다면 계속 유지해야 합니다. 그러면(계속 유지하면), 담마(dhamma) 개념을 생각하는 습관이 생깁니다.

  • * 요즘 필자가 [잠자리에서] 일어났을 때, 가장 먼저 생각나는 것은 담마 개념, 또는 전날 생각하고 있었던 (담마) 문제입니다.

 

요약

 

18. 마지막으로, [팔정도의] 길에 진전을 이루기 위해 해야 할 두 가지가 있습니다.

 

  • * 하나는 담마(Dhamma)를 배움으로써 아윗자-(avijjā, 무명)를 줄이는 것입니다.

  • * 다른 하나는 위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와찌 상카-라(vaci sankhāra)를 통제함으로써 우빠-다-나(upādāna, 밀접하게 끌어당김)를 줄이는 것입니다.

  • * 이 두 가지를 함께 하면, 훨씬 더 빨리 진전될 수 있습니다.

{"google":["PT Serif"],"custom":["Nanum Gothic","Noto Sans KR"]}{"google":["PT Serif"],"custom":["Nanum Gothic","Noto Sans KR","Nanum Barun Gothic"]}
{"google":["Noto Sans KR"],"custom":["Nanum Goth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