퓨어 담마(Pure Dhamma)
붓다의 진정한 가르침을 회복하기 위한 탐구
리빙 담마
2016년 8월 26일
붓다 담마(불교)를 실천하는 경험적 과정이 논의되어 있습니다. 재탄생(윤회)에 대한 믿음이 처음에 필요하지 않습니다.
불교의 본질
-
찟따, 웨-다나-, 산냐-, 상카-라, 및 윈냐-나 소개 (2019.04.09. 개정-추후 번역예정)
-
‘윈냐-나’ - 미래 기대를 포함하는 의식 (2019.05.11. 개정-추후 번역예정)
-
호흡 명상은 중독성이 있고 결국에는 해로움 (2020.01.21. 개정-추후 번역예정)
-
'아-나빠-나사띠 및 사띠빳타-나'에서 사띠 - 두 가지 의미 (2019.08.02. 개정-번역완)
-
리빙 담마 - 개요
- 마음의 평화를 닙바나에 - 핵심 단계
- 재탄생에 대한 믿음이 없어도 길을 가기 시작함(음성법문 1 'The Hidden Suffering that We All Can Understand' 포함)
- 빠알리어를 지양한 담마
- 탐구하는 마음을 위한 붓다 담마 - 제1부
-
모든 괴로움의 뿌리 - 10가지 부도덕한 행위(음성법문 'Ten Immoral Actions (Dasa Akusala)' 포함)
-
마음의 복잡함 - '윈냐'나'와 '상카-라' (2019.11.08. 개정-추후 번역예정)
-
'찟따, 마노-, 윈냐-나' - 생각(마음)의 9단계 (2020.07.26. 개정-추후 번역예정)
리빙 담마 - 근본
-
-
'낄레사(정신적 오염물)'란 무엇인가? - 쩨따시까에 연결 (2021.02.18. 개정-추후번역예정)
-
이 삶의 괴로움 - 정신적 오염물의 역할(음성법문 2 포함)
-
사띠빳타-나 숫따 - 이 삶의 괴로움과의 연관성(음성법문 3 포함)
-
가티와 낄레사가 어떻게 생각에 반영되는가?(음성법문 4 포함 - 두 부분)
-
사마디에 이르름(음성법문 5 포함)
세간적인 삼마 사마디
-
밋짜 딧티 - 헤뚜 팔라(원인과 결과)에 연결(음성법문 6 포함)
-
이 삶에서 겪는 괴로움과 연기(음성법문 7 포함)
-
이 삶에서 겪는 괴로움과 연기 - II (음성법문 8 포함)
성스런 팔정도로 이행(변천)
-
-
불자는 감각적 욕망을 제거하는 것이 필수적인가? (2020.02.02. 소제목추가 개정-추후 정리)
-
'실-라, 사마-디, 빤냐-'에서 '빤냐-, 실-라, 사마-디'로 (2019.09.14. 개정-추후 번역예정)
사마-디, 자-나(댜-나), 막가 팔라
-
-
사마-디, 자-나, 막가 팔라 - 소개 (2020.02.11. 개정-추후 번역예정)
-
선정 경험에 대한 상세 설명 - 사-만냐팔라 숫따(DN2) (2021.01.03. 개정-추후 번역예정)
멘탈 바디 - 간답바
-
-
우리의 정신적 몸 - 간답바 (2020.02.01. 개정-추후 번역예정)
-
간답바 상태 - 삼장에 있는 증거 (2019.08.31. 개정-추후 번역예정)
-
안따라바와 및 간답바 (2020.01.23./12.05. 개정-추후 번역예정)
-
정신적 몸(간답바) - 개인적 보고(이야기) (2020.04.25. 개정-추후 번역예정)
-
밋차- 딧티, 간답바, 및 소-따빤나 단계 (2019.09.24. 개정-추후 번역예정)
나-마 & 루-빠에서 '나-마루-빠'로
1. 정신 무더기
-
산냐-(지각)는 무엇인가?
-
* 산냐-와 그 진정한 의미 (2019.08.22. 개정-추후 번역예정)
-
* 위빨라-사(딧티, 산냐-, 찟따)는 상카-라에 영향을 미친다(2021.01.20. 개정(#13)-추후 번역예정)
-
웨-다나-(느낌)는 무엇인가?
-
상카-라
-
* 상카-라와 그 진정한 의미 (2021.01.23/26. 재작성/개정-추후 번역예정)
2. 물질 무더기
-
* '루-빠'란 무엇인가? - '담마-'도 '루-빠'다! (2021.01.25. 개정-추후 번역예정)
3. 윈냐-나 무더기
-
* 윈냐-나와 그 진정한 의미 (2020.05.16. 개정-추후 번역예정)
-
* 깜마 윈냐-나 - 마음과 물질 사이의 연결고리 (2020.02.06. 개정-추후 번역예정)
-
* '아니닷사나 윈냐-나'와 그 진정한 의미 (2019.10.10. 개정-추후 번역예정)
4. 삭까-야 딧티
5. 나-마루-빠 형성